황토집으로 신바람 나는 농촌을... 장성 한마음공동체 남상도 목사 | |
2006-09-27 | |
![]()
![]() “우리가 개발 보급하는 황토집은 천장에 흙이 40센티미터 이상 올라가 비막이 역할을 하며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 따듯해요. 벽체는 기본이 45센티미터라 하중을 견디면서 기본 성능을 갖췄고요. 집은 구조에 따라 그 수명이 시멘트는 50년, R.C는 100년, 목조는 관리만 잘 하면 300∼400년 그리고 황토집은 어떻게 짓느냐에 따라서 천 년 만 년 간다고 하잖아요. 흙은 썩지 않으니까요.” ![]() ![]() “과거 권력을 움켜줬던 양반 지주地主들은 평야지대에 살면서 드넓은 땅을 지배했지요. 그런데 평야에 지은 황토집은 홍수가 나면 그 날로 다 무너지기에 목구조 황토집으로 바뀌었어요. 결국 황토집은 평야가 아닌 산에서 살 수밖에 없었던 서민들의 주거 형태 였지요. 즉 황토집을 지으려면 지리적 특성을 잘 살펴야 해요. 몇 백 년에 한 번이라도 홍수가 지는 지역에서 항토집을 짓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니까요. 들이치는 비는 괜찮은데 올라오는 물에는 속수무책이지요.” ![]() 예나 지금이나 농민들은 농사지어 실패해도 농촌을 떠나고, 돈을 벌어도 더 이상 고생하지 않겠다며 농촌을 떠나는 실정이다. 남상도 목사는 농촌에 문화가 없기 때문이라고. 그에게 있어 황토집 짓기는 일종의 농촌 살리기 운동인 셈이다. “농산물만으로는 농촌이 도시를 따라갈 수 없어요. 사람, 돈, 기술 등 모든 면에서 농촌은 도시보다 열악하잖아요. 그렇다면 농촌을 어떻게 살릴 것인가? 6년 전 농촌이 유일하게 도시를 이길 수 있는 게 자연이라는 경관 문화라고 생각했어요. 이 문화에 부가가치를 높이자, 그것이 바로 황토집이죠. 이제는 교통 여건이 발달했기에 많은 도시인이 농촌에 거주하면서 모도시母都市로 출퇴근하기를 바라잖아요. 농촌에 아이들이 뛰어다니고 젊은이들이 어울릴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이 필요해요. 그래야만 농촌으로 인구가 유입되고 그들이 주변 농산물에 애정을 갖다 보면 수입 농산물 개방에도 대응할 수 있으니까요.” 남상도 목사는 덧붙여 농민들의 생각도 바뀌어야 한다고. 농촌을 농사짓는 농민만의 생활 공간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농촌은 직업이 다르더라도 농민과 자연을 사랑하는 아름다운 도시민이 와서 함께 사는 곳으로 생각해야지요. 그래야만 도시의 인구와 자본이 유입돼 농촌이 살아요.” 황토집에 안전성, 편리성, 예술성을 남상도 목사의 황토집 짓기에는 기본 원칙이 있다. 첫째 지형이 황토집 짓기에 적합한지 풍수지리에 따라 세심하게 확인한다. 둘째 황토집에서 살 사람이 어떤 철학을 갖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그리고 자연에 대한 철학이 분명하면 정성껏 시공하고 그렇지 않으면 사양한다. 셋째 주변 경관과 어떤 조화를 이룰 것인가를 깊이 묵상한다. 건축은 그저 서 있는 구조물을 뛰어넘어 자연의 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넷째 이 집이 어떤 목적으로 사용될 것인지 확인하고 그 목적에 맞는 설계와 시공을 한다. ![]() 이러한 기초 위에 안전성, 편리성, 예술성을 극대화시킨다. 황토집의 안전성은 2003년 중국 복건성 영정에 있는 ‘토루’를 방문하면서 확신을 가졌다고. 800여 명이 동시에 살았던 대형 흙집이 500년이 지난 지금까지 손상없이 건재한 원리를 체험하고 지금 실천을 하고 있는 것이다. 한마음공동체 내에 국내 단일 황토집으로는 가장 큰 160평 복층 황토집이 그 산물이다. 나주에 지은 항토집에서는 스위스인이 1년간 살고 있는데 그동안 잔병치레 한번 안 했다며 스위스에 집을 가져가고 싶다고 극찬할 정도다. 여기에 힘을 얻어 남상도 목사는 지금 장성에 황토집 100채를 짓는 꿈에 부풀어 있다. 장성군에다 관광객 유치를 위해 호텔 대신 황토집 100채를 짓자고 건의했다고. “20만 평 뽕밭을 조성해 잃어버린 우리의 실크를 회복하고, 그 경관을 이용해 산책로도 만들 예정이지요. 그곳에 원룸형 황토집 100채도 짓고요. 외국인들로 하여금 한국에 가면 그곳에서 하룻밤 묵어야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말이죠.” 16년간 유기농업 한마음공동체를 뒷바라지하면서 누에고치 실크 접근과 황토집을 지으며 새로운 농촌문화의 대안을 실천하는 남상도 목사. 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는 황토집을 통해 농촌 문화의 꽃이 만발하기를 기다려 본다.田 한마음공동체 061-393-0649, www.yuginong.co.kr 글 ·사진 윤홍로 기자 ![]() ![]() < Country Home News > |
|
-
[전원에서 만난 사람] 흙을 빚어 구운 ''즈음집'' 도예가 김구한
약력1947년·충남 부여 출생1980년·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졸업1995년 ·초대형 도자 ‘백두대간’(12.5m×2.2m×2.3m) 설치(서울 강남역 중앙투자금융빌딩 로비)199년·일본 복정현 ‘아시아의 7인’ 초대작가·동북
2006-07-30 -
[전원에서 만난 사람] 도시탈출 전원생활일기, 작가 박명운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도시가 너무 오염되어서 공기 좋은 시골로 이사 간단다. 뜨아아∼. 난 시골보다 도시에서 사는 게 좋은데. 아빠는 우리 가족을 위해 시골로 이사 가는 거라는데 이해가 안 된다. 우리가
2005-12-27 -
흙피리 장인 ''''후두둑''''
어절씨구! 우리네 흙피리 자~알 맹글어진다.흙피리 장인 ‘후두둑’그는 스스로 ‘후두둑’이라 한다. 그럴듯한 아호나 직함으로 ‘나 이런 사람이오’ 하고 나서지 않는다. 비가 듣는 소리, 천지간에 울리는 날것의
2005-08-27 -
새집 짓는 목수 이대우
흥정계곡에 우짖는 새는 그가 있어 행복하다새집 짓는 목수 이대우사람에게는 저마다 독특한 향기가 있다. 그것은 눈으로, 귀로, 직감으로 알 수 있다. 강원도 평창 흥정계곡에서 책 읽고 음악 듣고 산보를 즐기며 사
2005-07-24 -
새집 짓는 목수 이대우
흥정계곡에 우짖는 새는 그가 있어 행복하다새집 짓는 목수 이대우 사람에게는 저마다 독특한 향기가 있다. 그것은 눈으로, 귀로, 직감으로 알 수 있다. 강원도 평창 흥정계곡에서 책 읽고 음악 듣고 산보를 즐
2005-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