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고향의 봄을 들이다, 양평 105.6㎡(32.0평) 복층 경량 목조주택 | |
2011-07-05 | |
![]()
![]() "마을이 아주 예쁘지만 그 중에서도 우리 집터가 가장 좋은 곳 같았어요. 지금 이렇게 좋은 곳을 찾기가 어디 쉽겠어요? 집도 잘 지어져 마을에서 우리 집이 제일 예쁘네요." 정원 계단 아래에는 전 주인이 만들어 놓은 연못도 주택 외형미에 한 몫 한다. 이 집을 비롯해 마을은 집집마다 연분홍색 붉은색 철쭉이 흐드러지게 피어 '고향의 봄'노래가 절로 나오게 한다. ![]() ![]() 해발고도 500m 내외의 나지막한 산봉우리에서 완만한 경사로 흘러내린 산등성이들은 서로 어깨를 나란히 하며 서종면 수능리 샘말을 편안하게 감싼다. 샘말 발아래로 옥천면 소재 옥산자락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청량감을 더한다. 북한강으로 흘러드는 이 계곡을 따라 고불고불 조금 더 내려가면 소설가 황순원을 기리는 문학관과 소나기마을이 있다. 그래서인지 이 계곡은 황순원의 단편소설《소나기》속 주인공 소녀와 시골 소년의 만남을 떠올리게 해 정감을 일으킨다. 황순원 마을이 조성돼 있고 이웃에 시인의 마을도 들어서 이곳 수능리 일대는 문예적 정취가 물씬한 듯하다. ![]() ![]() ![]() 경사를 이룬 부지는 집터 바닥면을 높인 맞은편 집과 균형을 맞추며 조망 확보를 위해 지반을 높여 다듬었다. 위압감을 주는 수직의 옹벽 대신 수목을 심은 계단식 석축으로 시공해 마을과 조화를 이루며 자연미가 살도록 했다. 이러한 계단식 석축은 수직 옹벽에 비해 면적을 많이 차지하므로 건축주에게 공간 활용 면에서 불리하나 마을의 자연스러운 경관을 추구한 것이다. ![]() ![]() 전원주택 외벽 마감재로 자주 쓰이는 적벽돌은 점토벽돌, 붉은 벽돌이라고도 불린다. 점토와 모래를 혼합해 반죽한 것을 900~1000℃의 고온에서 소성한다. 고벽돌(파벽돌)은 말 그대로 옛 적벽돌로, 예전 건물을 해체하면서 나온 벽돌을 다듬는 과정을 거쳐 재사용하는 벽돌을 말한다. 이를 외벽 마감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새집 같지 않고 오래된 듯한, 자연스러운 느낌을 내려는 의도로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분위기의 벽돌을 찾는 이들이 꽤 많고 고자재 공급의 한계 등으로 일반 적벽돌에 비해 가격이 높은 편이다. 고벽돌을 재사용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듯 점토벽돌은 세월이 지나도 쉽게 변색 변형되지 않아 주택 외형미를 오래 유지하며 성분이 흙 자체이므로 친환경 자재로도 꾸준히 사랑받는다. 건축 재료로 벽돌의 사용은 기원전 4000년대 말 바빌로니아의 탑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벽돌 문화의 선두주자라 불리는 영국의 경우 아직도 300년 된 벽돌집들이 흔하다고 한다. 공기 정화와 습도 조절기능 등의 장점으로 실내 마감재로도 쓰인다. ![]() ![]() * 두물머리에서 출발해 양서면 목왕리를 지나 얕은 고개 하나를 넘어 수능리에 들어섰을 때 마을은 봄날 오후 햇살의 찬란함을 고스란히 받았다. 그 어떤 마을보다 아늑하고 포근한 기운이 감도는 곳이다. 양평 건축주도 이런 포근한 느낌에 감동하고 집들이 옹기종기 예쁘게 모여 있는 모습에 이곳을 낙점했을 것이다. 그런데 마을에 들어서 '예쁘다'는 느낌을 받는 데는 정원의 역할도 큰 듯하다. 양평 주택은 정원을 높은 담장이나 대문으로 감추지 않고 외부로 드러냄으로써 마을을 더욱 아름답게 가꿔주고 있었다. 글 박지혜 기자 사진 백희정 기자 ![]() ![]() < Country Home News > |
|
-
[화사한 집] 반려동물을 위해 전원행을 결심하다, 경산 106.3㎡(32.2평) 복층 경량 목조주택
호기심에 때로는 외로움을 달래줄 '친구'로 반려동물을 키우는 이들이 점점 늘고 있다. 그러나 반려동물이 성장할수록 아파트라는 공동주택은 불편함만 줄 뿐이다. 짓는 소리, 뛰어다니는 소리에 이웃과 불화가 생기
2011-06-10 -
[신혼부부 집] 알콩달콩 신혼집 구경하기 천안 99.0㎡(30.0평) 단층 경량 목조주택
신혼부부 황규복(32세), 박영은(30세) 씨는 내년이면 만난 지 꼭 10년이 된다. 한창 혈기 넘치던 시절 만나 결혼에 성공한 이들은 차곡차곡 돈을 모아 작년 10월 신혼집을 마련했다. 연애하는 동안 첫번째 꿈은 결혼
2011-06-10 -
[Cover Story] 지중해풍 외관이 눈길을 사로잡는 당진 209.8㎡(63.4평) 복층 경량 목조주택
서해가 가까운 충남 당진 안에서도 바람 한 점 불지 않는 아늑한 곳에 자리한 주택이다. 뒤로는 야트막한 산이 있고 정면에는 저수지가 있는 배산임수背山臨水한가로운 터에 놓였다. 건축주가 부모님과 함께 전원생활
2011-06-09 -
[전망 좋은 집] 산수유 마을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한 구례 191.4㎡(58.0평) 복층 경량 목조주택
매해 이맘때쯤이면 산수유가 노랗게 물드는 전남 구례 산동면 위안리. 지리산이 위엄을 자랑하는 이곳 가장 높은 곳에 191.4㎡(58.0평) 복층 목조주택이 들어섰다. 마을 아래에서부터 도드라져 보이는 이 주택은 건축
2011-05-17 -
[실속 있는 집] 30년 넘게 한 자리 지킨 안동 107.5㎡(32.5평) 복층 경량 목조주택
마을 집들이 빼곡히 들어선 골목 중간 즈음에 갓 지어 단정하고 깔끔한 주택 하나가 있다. 골목 양쪽으로 늘어선 집들을 따라가다 보면 그 중간 즈음에 세월의 흔적을 머금은 여느 집들과 달리 보수공사로 바쁜, 아직
2011-05-16
-
강화 105.6㎡(31.94평) 경량 목조주택
다정한 마음과 행복을 담은 공간강화 105.6㎡(31.94평)경량 목조주택 고려 23대 고종의 능인 홍릉으로 유명한 강화읍 국화리의 강화 주택은 햇살 가득한 넓은 대지 위에 아담하게 자리하고 있다. 야
2014-03-28 -
여주 110.4㎡(33.4평) 경량 복층 목조주택
은혜롭고 넉넉한 인심이 더해진 여주 110.4㎡(33.4평) 경량 복층 목조주택 최 용(53)·박경수(53) 동갑내기 부부는 그동안 미뤄왔던 공부와 음악 분야에 소질을 보이는 외동딸의 장래를 위해 온
2014-03-28 -
사이좋은 올케와 시누이가 나란히 지은 양평 106.8㎡(32.3평) 복층 경량 목조주택
사이좋은 올케와 시누이가 1157.0㎡(350.0평) 부지를 정확히 반으로 나눠 각자 578.5㎡(175.0평) 공간에 106.8㎡(32.3평) 규모로 나란히 지은 복층 경량 목조주택이다. 쌍둥이처럼 똑 닮은 두 주택은 주택 사이에 대
2013-09-03 -
호반의 도시에서 이룬 전원생활의 꿈 춘천 111.0㎡(33.6평) 단층 경량 목조주택
교직 생활을 하던 유남일(63세)·권인호(61세) 부부는 정년퇴직을 7년 앞두고 지금의 부지를 마련했다. 줄곧 ‘퇴직하면 농사짓고 살자’며 입버릇처럼 말하던 남편 유남일 씨의 바람대로 퇴직과 동
2013-07-30 -
구들 한 번 때면 3일 가는 김포 108.9㎡(33.0평) 단층 목구조 황토집
공직에서 은퇴 후 부동산중개업을 하던 건축주 김동희(72세) 씨가 건강을 생각해 지은 단층 목구조 황토집이다. 김포에서 부동산중개업을 운영하던 그가 전원주택지로 낙점한 이곳은 한갓진 농촌 풍경이 일품이다.
2013-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