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가의 쉼터 태안 94.84㎡(28.73평) 복층 철근 콘크리트 주택 | |
2015-01-01 | |
![]()
![]() ![]() 바람이 거센 언덕에 삼각형 집은 뿌리를 깊게 밖은 듯 단단하게 고정돼 있다. 3면의 통창은 전망대처럼 주변 경관을 감상하게 한다. "건물은 사람이 거주하기 전까지 단순히 구조물에 머물죠. 사람이 시간을 함께 공유하면서 비로소 생명력을 얻습니다. 화려하지만 텅 빈 쇼핑타워보다 한 사람의 손때가 묻은 시골집이 더 아름답고 생명력 있어 보이는 이유입니다. 그래서 사람의 손길이 사라지면, 건물은 서서히 시들어갑니다.” 집도 자연의 일부로써 생명력 있는 독립 주체로 존재할 수는 없는가에 대한 고민에서 이 집의 계획은 시작됐다고 한다. 집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오브제’ 세포엔 핵이 있다. 이러한 핵을 중심으로 모든 생명체가 구성된다. 살아있는 생명체와 같은 건축물이 되기 위해선 건축물에도 세포와 같은 핵이 필요하다. 이 핵은 자연계의 오브제를 통해 완성된다. 오브제는 돌이든 나무든 중요하지 않다. 건축물과 오브제와의 조화가 핵심이다. 이 집은 은행나무를 집 안으로 끌어들여 전체 균형을 이뤘다. 이것이 중정(中庭)이다. 집은 자연과의 조화를 담아냈지만, 형태는 효율성을 추구하는 건축문화에 반하듯 비효율적인 삼각형으로 지었다. “집 안의 구조와 기능, 균형의 미를 고려해 중정을 원형으로 계획했어요. 중정 주변으로 주방과 응접실 거실을 배치하니 육각형과 유사한 형태가 되었고, 이를 품은 정삼각형의 구조로 완성하게 됐습니다.” 세 면을 흑색의 금속 패널로 두른 집은 멀리서 보면 수트를 입은 것처럼 단정해 보인다. 1층은 통유리로 감싸 밤이면 저녁노을이 전원풍경과 겹쳐 실내를 비추고, 해진 뒤 멀리서 보면 거대한 조명을 설치해놓은 것만 같다. ![]() 불가마에서 구워낸 유약 벽돌을 건축주가 직접 쌓았다. 벽돌은 각각 독립적이지만, 중정을 감싼 단일 오브제가 됐다. ![]() ![]() 응접실의 분위기와 난방을 위해 설치한 벽난로. 한 지붕 다채로운 성격 집은 자재 특성에 따라 공간의 성격이 변화한다. 같은 형태의 공간이라도 자재 조합에 따라 다양한 느낌으로 연출이 가능하다.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 목재의 조합으로 완성한 집은 보는 각도와 위치에 따라 몸과 눈으로 전해지는 느낌이 다르다. 내부 구조만큼 마당 구조도 특이하다. 전면 마당은 대지에서 한층 높이만큼 낮아 하늘만 보인다. 이 때문에 전면 거실이 더욱 독립적으로 느끼도록 공간을 한정시킨다. 뒷마당은 외부에서 건물로 진입하는 연결 공간임과 동시에 경계이다. 담이나 울타리와 같은 인위적인 경계를 배제하고 외부 풍경이 마당과 세 벽면으로 연결돼 흐르도록 했다. 이는 건물 전체가 전원 위에 떠있듯이 보이게 한다. 안팎의 경계가 모호한 집은 외부·중외부(1층)·중내부(2층)·내부(2층 침실)로 구성된다. 경계가 느슨하다. 먼저 외부 동선을 따라 주차장을 지나 뒷마당으로 가면 유리 현관문이 나타난다. 현관에 들어서면 중외부에 속하는 응접실과 주방이 보이고, 전면 거실과 이어진다. 응접실에 설치한 계단을 오르면 중내부인 2층 욕실이 나타난다. 욕실 옆 복도를 지나면 비로써 완벽한 내부로 분류되는 침실에 들어선다. 가장 은밀하고 조용한 공간에 침실을 마련했다. ![]() 2층의 빈 선반은 향후 사다리를 설치해 책꽂이로 이용할 계획이다. 1층 정면 거실에서 내다본 풍경. ![]() 정오가 되면 침실 중앙에 햇빛을 가득 채우는 천창. 블라인드로 채광을 조절한다. ![]() 중정. ![]() 복도 수납장을 따라가면 유광 타일이 깔린 침실이 나온다. 거실 카펫으로 벽과 바닥을 마감하고 매트리스를 설치했다. ![]() 사용 편의를 위해 샤워실, 화장실, 세면대로 나눴다. 적외선 난방 조명기를 설치해 따뜻하도록 계획했다. “철저하게 라이프 스타일 고려” 1층과 2층은 한 건물이지만 전혀 다른 성격을 가진다. 1층은 미닫이 통유리 창호가 세 면을 차지한다. 창호를 열면 외부, 닫으면 내부가 되는 구조다. 적극적인 소통이 가능하고 채광과 환기가 자유롭다. 반면, 2층은 모두 닫혀있다. 중정과 천창을 통해 하늘만 열려있다. 천창은 블라인드를 열고 닫아 낮엔 채광을 조절하고, 밤엔 쏟아지는 별빛을 감상하게 한다. 단독주택은 풍성한 삶과 여유를 얻지만 단점도 있다. 그 가운데 하나가 공동주택보다 단열 효율이 떨어지는 점이다. 단독주택의 단열 효율을 공동주택만큼 높이려면 기술적인 문제는 없다. 단지 초기 비용의 상승이다. 김제균 씨는 이 집을 계획하면서 단열에 대한 관념을 새롭게 세웠다. 1층을 중외부로 정의하고 단열시공을 과감하게 생략했다. 실내로 정의한 침실에만 냉·난방을 설치했다. 사용 용도 때문에 욕실엔 적외선 난방기를 추가로 설치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체 시공비를 대폭 줄었다. 그럼에도 부족함이 없다. 여름철엔 중정과 1층 창호를 개방하면 건물 전체에 시원한 바람이 통하고, 겨울엔 침실과 벽난로가 있는 응접실을 이용하면 그만이다. ![]() 삼각형 집은 비슷하지만 각기 다른 면을 보여준다. 집을 지을 때 우리는 안락함과 편리함, 쾌적함을 추구한다. 가장 적게 움직이는 동선을 따라 공간도 계획한다. 그런데 수많은 집을 설계한 그가 이것을 모를 일 없다. 그는 다소 불편함을 감내하더라도 몸과 마음으로 자연을 느끼고 순응하는 집을 바랐을 뿐이라고 말한다. “짧은 시간에 건축을 이해하기란 매우 어렵습니다. 클래식 음악을 음미하듯 공감과 이해를 토대로 천천히 음미해야 그 참맛을 알 수 있겠지요.”田 건축정보 위치 충남 태안군 지역지구 계획관리지역 건축형태 철근 콘크리트(하부), 철골구조(상부) 대지면적 654.00㎡(198.18평) 건축면적 70.55㎡(21.37평) 연면적 94.84㎡(28.73평) 1층 61.03㎡(18.49평), 2층 33.81㎡(10.24평) 지붕재 메탈 패널 150THK 외장재 메탈 패널 150THK 내장재 라왕 합판 / 유약 점보 벽돌 바닥재 아카시아 집성목 / 노출 콘크리트 창호재 알루미늄 창호 난방형태 침실 내 전기 패널 식수공급 지하수 설계·시공 범호건축사사무소 031-223-2369 ![]() ![]() < Country Home News > |
|
-
유럽 고성처럼 묵직한 가평 133.00㎡(40.30평) 복층 철근 콘크리트 주택
유럽 고성처럼 묵직한가평 133.00㎡(40.30평)복층 철근 콘크리트 주택경기도 가평의 한 수목원으로 향하는 길. 해발 400m 고지에 이르니, 잘 조성된 전원주택 단지 속에 감각적인 집 한 채가 눈에 띈다. 굽이친 소나
2015-01-01 -
스킵플로어의 나눔과 더하기 광주 329.64㎡(99.89평) 복층 철근 콘크리트 주택
스킵플로어의 나눔과 더하기광주 329.64㎡(99.89평)복층 철근 콘크리트 주택집 지을 계획이 있는 사람이라면 설계를 앞두고 집 구경에 나서기도 한다.다른 집은 어떻게 지었는지 어떤 자재를 사용하고, 구조는
2014-12-24 -
그림을 그리듯, 조각하듯 집을 지은, 제주도 117.90㎡(35.73평) 복층 철근 콘크리트주택
그림을 그리듯, 조각하듯 집을 지은제주도 117.90㎡(35.73평) 복층 철근 콘크리트주택이 집은 나무와 돌의 질박함을 그대로 담아 지루하지 않고 거부감이 없다.집을 짓는 건 상상에서 출발한다. 연기처럼 흩어지는 상
2014-11-26 -
마음 맞는 직장 동료와 함께 지은 정선 97.02㎡(29.40평) 복층 철근 콘크리트주택
마음 맞는 직장 동료와 함께 지은정선 97.02㎡(29.40평) 복층 철근 콘크리트주택전원주택에 살고 싶은데 혼자는 왠지 부담스러운 경우가 있다. 좀 적적할 것 같고 무섭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경제적 부담도 한
2014-11-26 -
구조와 기능, 멋을 담은 청원 154.50㎡(46.74평) 복층 철근 콘크리트 주택
어떤 집을 짓고 싶으세요?” 라는 질문에 대부분 “예쁜 집이요”라고 답한다. 예쁜 집의 기준은 지극히 주관적이다. 나에겐 화사한 꽃처럼 보여도 다른 이에겐 흔한 풀로 보일 수 있다. 청원에서 찾
2014-10-24
-
【HOUSE STORY】 세 개의 마당에서 즐겁게 추억 만드는 세종 주택, 세 자매 집
세 개의 마당에서 즐겁게 추억 만드는 세종 주택, 세 자매 집건축주 부부와 세 명의 자매, 모두 다섯 식구가 호림건축사사무소로 출동했다. 자매들이 즐겁게 놀이하고 공부하며 자랄 수 있는 소중한 보금자리를
2022-09-06 -
【HOUSE STORY】 가족의 꿈 제작소 세종 주택, 드림팩토리
가족의 꿈 제작소 세종 주택 드림팩토리주택에 대한 건축주의 기대는 건축가가 그것을 실현할 수 있는 원동력이다. 분명한 니즈를 빠르게 파악해 핵심을 찾아 그려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드림팩토리에는 &lsqu
2022-09-06 -
【HOUSE STORY】 향 좋은 땅에 풍요로운 삶을 담다 세종 주택, 안온재安溫齋
향 좋은 땅에 풍요로운 삶을 담다 세종 주택, 안온재安溫齋‘안온재安溫齋’에는 많은 이야기가 녹아 있다. 집 형태에 대해 건축주가 오랫동안 담아온 생각, 땅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 그리고 건축주
2022-08-30 -
【HOUSE STORY】 미니멀과 심플함이 돋보이는 세종 주택, 아름 디노
미니멀과 심플함이 돋보이는 세종 주택, 아름 디노건축주는 첫 만남부터 미리 생각해 두었던 평면 스케치를 SUP건축사사무소 이선환 소장에게 보여주며 원하는 바를 설명했다고 한다. 보통 건축주가 가져오는 스
2022-08-30 -
【ARCHITECT CORNER】 아무도 눈여겨보지 않았던 작은 땅 숨 불어넣은 ‘사월애가’
아무도 눈여겨보지 않았던 작은 땅 숨 불어넣은 ‘사월애가’처음 공사를 시작할 때 이 작은 땅에 뭘 짓겠냐며 많은 주민들은 의아해했다. 그러나 지금은 다들 엄지 치켜세워 인사를 건넨다. 터파기
2022-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