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의 집을 찾아서 ① - 최규하 대통령 가옥 | |
2015-02-26 | |
![]() 일생을 선비처럼 살아온 대통령의 ‘검소한 생활상’ 평생을 절제하며 검소하게 살아온 대통령이 있다. ‘우리 시대 선비의 표상’이라 불리는 최규하 전 대통령이다. 서교동 가옥을 찾아 그의 검박하고 올곧은 생활상을 들여다봤다. 글·사진 박치민 기자 취재 협조 서울시 ![]() 최규하 전 대통령의 서교동 가옥은 대통령이 1973년부터 2006년 서거할 때까지 약 30여 년을 거주한 가옥이다. 70년대에 유행한 전형적인 복층 복열형 도시 주택으로, 구조는 철근 콘크리트와 벽돌 조적을 혼합한 형태다. “살 수 있을 정도면 된다” 몸에 밴 검소한 생활 가옥은 지상 1,2층과 지하 1층으로 이뤄져 있다. 대통령의 생활상은 검박함으로 일축된다. 고위 공직에 있으면서도 허례허식과는 거리가 멀었다. “살 수 있을 정도면 된다”며 대통령 부부는 항상 검소한 생활을 했다고 한다. 가옥 내에 남아 있는 유물만 봐도 그 검소함은 오랜 기간 몸에 밴 습관임을 알 수 있다. 1층 현관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게 낡은 신발장과 굽이 다 떨어진 구두 십여 켤레다. 거실에는 낡고 색 바랜 장식장이 30년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고 있으며, 자개장이 놓인 안방은 마치 시간을 과거로 돌려놓은 듯한 착각마저 들게 한다. ![]() ![]() ![]() ![]() ![]() 응접실에는 골동품처럼 보이는 50년 된 선풍기가 있다. 딸 종혜 씨가 태어난 1953년에 구입한 것으로 대통령이 타계할 때까지 사용한 것이다. 얼마나 소중히 관리했는지 지금도 시원하게 작동된다. 에어컨 역시 1970년대 장남 윤홍 씨가 미국에서 사용하다가 국내에 들어오면서 설치한 것이다. 이외에도 천을 덧대 꿰맨 보료 등받이며, 달력을 잘라 만든 메모지, 일제 강점기 때 생산된 것으로 추정되는 싱거 미싱 등 부부의 검소함은 집안 곳곳에 드러난다. 대통령은 국무총리 시절 “광부들의 노고를 잊지 않고자 평생 연탄을 때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그 약속을 지키기 위해 그는 노년까지 연탄보일러를 사용했다. 지하층의 연탄보일러를 보면서 누구나 숙연해지는 것은 격동의 세월 속에서도 변치 않은 그의 올곧은 성품 때문이리라. ![]() ![]() ![]() ![]() ![]() ![]() 남편 최규하 지극했던 부부사랑 대통령과 홍기 여사는 1935년에 결혼, 슬하에 2남 1녀를 두었다. 결혼 후 신혼생활을 누려볼 틈도 없이 대통령은 곧바로 혼자 유학을 떠나 43년에야 귀향했다. 떨어져 지낸 기간만 무려 8년. 그동안 홍 여사는 남편 없이 시부모를 모셨고, 결혼 10년 만에 장남 윤홍을 낳았다. 이후 대통령이 외교관으로 해외에서 근무하고, 67년 서울에 돌아올 때까지 부부는 줄곧 외국에서 생활했다. 60년을 함께 한 대통령 부부에 대해 가족들은 “두 분은 살갑게 말은 안 해도 서로에 대한 존경과 신뢰, 사랑이 넘쳐나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고 전한다. 노년에도 부부의 사랑은 지극하고 또 애잔했다. 홍 여사가 8년에 걸친 투병생활을 할 때, 350여일을 입원해 있는 동안에도 대통령은 하루도 빠짐없이 아내의 병원을 찾았다. 그리고 혈압, 혈당의 수치 같은 것들을 간병일지에 빼곡히 적어내려 갔다. 집 안에 약탕기가 많은 것도 홍 여사의 병수발 때문. 대통령 전 비서관은 부부에 대해 “부인에 대해 짜증낸 적이 없었다”며 “아내가 살아있는 것만으로도 퍽 의지가 되는 것 같이 보였다. 참으로 애틋했다”고 전한다. ![]() ![]() ![]() ![]() ![]() ![]() 아버지 최규하 유근유공惟勤有功의 가르침 대통령은 자녀들에게 늘 ‘유근유공’을 강조했다. 이는 ‘부지런한 노력만이 그 공을 인정받는다’란 뜻으로 대통령의 좌우명이기도 하다. 공직은 물론 가정에서도 대통령은 성실함으로 모범을 보였다. 뜻한 바를 이루기 위해 작은 일에도 부단히 노력했으며, 늘 정직하고 청렴했다. 자녀들은 말한다. “아버님의 이러한 가르침을 통해 형제들이 모두 바른 길을 갈 수 있었다”고. ![]() ![]() ![]() ![]() ![]() ![]() ![]() 옛 선비들의 비명을 보면 대체로 이렇다. “성품이 검소해 재상이 되도 지극히 검박하게 생활했으며, 집은 선친의 옛집을 수리한 것일 뿐이라 대청 앞이 말을 돌릴 수 없을 정도로 비좁았다” 최 전 대통령과 그의 생활상을 잘 나타낸 비문이 아닐까. 역사의 평가는 엇갈리지만 그의 청렴하고 근검한 정신만큼은 지금 이 시대에 우리가 잃어버린 가치가 무엇인지 다시금 되돌아보게 한다.田 ![]() ![]() ![]() < Country Home News > |
|
-
SPECIAL FEATURE l 세상을 바꾸는 기술 '적정기술' ① 적정기술이란?
적정기술이란?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은 1973년 슈마허가 제안한 ‘중간기술(Intermediate Technology)’이라는 개념에서 출발한다. 사회공동체의 정치적, 문화적, 환경적 조건을 고려해 해당 지
2015-02-25 -
SPECIAL FEATURE l 세상을 바꾸는 기술 '적정기술' ② 국내 적정기술 현황과 다양한 적정기술
국내 적정기술 현황과 다양한 적정기술지난해 4월 충남도는 전국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최초로 기후변화 대응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적정기술 확산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2014년부터 2년간 ▲충남형 적정기술 개발
2015-02-25 -
SPECIAL FEATURE l 세상을 바꾸는 기술 '적정기술' ③ 적정기술 적용 사례 도심형 적정기술을 실현한 집
적정기술 적용 사례 “도심형 적정기술을 실현한 집”20년 가까이 된 집에 박기홍 씨가 이사 왔다. 오래된 주택이라 냉·난방이 취약해 생활이 불편했다고 한다. 그는 사시사철 쾌적한 공
2015-02-25 -
SPECIAL FEATURE l 2014 주택·부동산 시장의 동향과 특징 ① 토지시장과 정책 동향
SPECIAL FEATURE Ⅰ 2014 부동산 시장의 동향2014 주택·부동산 시장의 동향과 특징 ①토지시장과 정책 동향가격 : 전국 토지가격 1.4% 상승2014년 하반기 토지가격은 2010년 10월 이후 35개월 연속 상승세를
2015-01-01 -
SPECIAL FEATURE l 2014 주택·부동산 시장의 동향과 특징 ② 주택시장 동향
SPECIAL FEATURE Ⅰ 2014 부동산 시장의 동향2014 주택·부동산 시장의 동향과 특징 ②주택시장 동향가격 : 전국 매매 1.4% 상승14년 1~9월 수도권 주택 매매 가격은 0.8% 상승했으며, 5개 광역시 2.4%, 기타
2015-01-01
-
[ARCHITECTURE DESIGN] 안전가옥_30평형
안전가옥_30평형집은 주어지는 게 아니라 만들어가는 공간이다. 그래서 집은 생각의 공간이다. 생각의 깊이만큼 나에게 딱 맞는 공간을 얻을 수 있다. 양인성 소장이 예비 건축주에게 빠트리지 않고 꼭 하는 질문도
2020-12-28 -
[은평구 한옥] 2019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대상_현대와 전통이 소통하는 월문가月門家
2019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대상현대와 전통이 소통하는 월문가月門家제9회 한옥공모전에 은평한옥마을의 ‘월문가’가 대상을 수상했다. 박상욱 건축가의 작품으로 은평한옥마을의 작은 대지에 현대생
2020-02-26 -
[ARCHITECTURE DESIGN] 보통의 집
보통의 집PLANNING침실 2개화장실 2개층수 지상 2층HOUSE PLAN건축면적 55.08㎡(16.66평)연면적 87.78㎡(26.55평)최고높이 7m(가중평균 지표면
2018-12-26 -
[ARCHITECTURE DESIGN] 32평형 입체적 느낌을 강조한 전원주택
32평형 입체적 느낌을 강조한 전원주택HOUSE NOTEDATA건축구조 경량 목구조건축면적 90.89㎡(27.49평)연면적 108.18㎡(32.72평) 1층 83.58㎡(25.28평) 2층
2018-12-26 -
[ARCHITECTURE DESIGN] 조형적 디자인을 바탕으로 설계한 유니크한 전원주택
조형적 디자인을 바탕으로 설계한 유니크한 전원주택[전체 콘셉트]2개의 매스 조합HOUSE NOTEDATA건축구조 경량 목구조건축면적 130.02㎡(39.33평)연면적 176.04㎡(53.25평)&
2018-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