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재가이드] 열 교환기 종류 및 특징 | |
2018-04-24 | |
![]() 열 교환기 종류 및 특징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와 교환하는 환기. 그 목적은 공기에 일정 한도 이상 포함된 불쾌한 냄새, 연기, 먼지, 세균, 습기, 가스 등의 제거다. 실내에 신선한 공기가 부족하고 이산화탄소가 증가하면 사람은 불쾌감을 느낄 뿐만 아니라 현기증과 두통 등으로 인체에 악영향을 끼친다. 그런데도 겨울철에는 실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환기를 꺼리는 사람도 있다. 바로, 열 회수형 환기장치(열 교환기)가 필요한 이유다. 글 이상현 기자 취재협조 투바이포 박세련 실장 1661-2744 www.2x4.co.kr , (사)한국패시브건축협회 02-474-6621 www.phiko.kr 글 싣는 순서 01세라믹 사이딩 02독일식 시스템창호 선택에 따른 특성 및 성능 03단열재 등급별 금액 비교 04다양한 인테리어 합판 05다양한 시멘트 사이딩 06기밀 자재 종류 및 기능 07하우스랩 종류와 선택 08열교환기 종류 및 특징 09다양한 욕실 방수 자재 10빈티지 감성 건축자재들 11모던 감성 건축자재들 12다양한 소핏 벤트 13적은 돈으로 큰 효과를 주는 건축자재 14미국식 시스템창호 브랜드별 등급 및 특징 환기장치의 필요성 오래된 주택은 기밀성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틈새바람[外風]만으로 필요한 환기량을 충족했다. 하지만, 요즘 짓는 주택은 기밀성이 높아 틈새바람이 없기 때문에 양호한 실내 공기질을 유지하려면 환기장치가 필수다. ![]() 열 회수형 환기장치[Heat Recovery Ventilator]란 주택이 기밀할수록 에너지 절감과 벽체 내 결로 현상이 감소하는 순기능이 있지만, 사람에게 필요한 신선한 공기는 부족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기밀성이 높은 패시브하우스에선 기계식 환기장치를 사용한다. 보통 오염된 실내 공기가 빠져나가는 배기의 열과 신선한 공기가 들어오는 흡기의 열을 기계(열 교환 소자) 내에서 교환하는 열 회수형 환기장치(폐열 회수 환기장치)를 사용한다. ![]() 환기장치의 종류 환기장치는 판형 열 교환기, 환형(로타리) 열 교환기, 창문형 열 교환기로 나뉜다. 아래에서는 사용빈도가 높은 판형과 환형 열 교환기를 중심으로 다룬다. 먼저 환기를 이야기할 때 자주 등장하는 단어를 알아보자. R.A_ Return Air의 약자로 실내에서 환기장치로 나가는 공기 S.A_ Supply Air의 약자로 환기장치에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 E.A_ Exhaust Air의 약자로 환기장치에서 외부로 나가는 공기 O.A_ Out Air의 약자로 외부에서 환기장치로 들어오는 공기 ![]() 판형 열 교환기 ![]() 국내 대부분의 제품이 판형 열 교환 방식이다. 원리는 수백 개의 빨대를 그림과 같이 다른 방향으로 겹쳐 놓고, 배기와 흡기가 섞이지 않고 그 사이를 통과하면서 서로의 열을 교환하는 방식이다. 환형[Rotary Type] 열 교환기 ![]() 업무시설용 대형 공조기에 들어가는 열 교환기를 주택에 맞게 축소한 것이다. 원리는 원형의 열 교환 소자가 지속적으로 돌면서 절반은 흡기를, 절반은 배기를 한다. 배기할 때, 열 교환 소자에 머문 열기를 흡기하면서 교환한다. 전열 교환(습기 + 온도 교환)의 중요성 우리나라 겨울철 외부 온도가 0℃, 실내 온도가 23℃, 상대습도 60% 라고 한다면, 공기 중의 습기량은 외부는 2.9g/㎥, 실내는 12.3g/㎥ 이다. 즉, 실·내외 습기량 차이가 9.4g/㎥ 난다. 만약 가습 없이 환기를 계속하면 실내 상대습도는 12%까지 떨어진다. 따라서 습기의 교환 없이 환기하면 실내는 매우 건조해질 수밖에 없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우리나라는 가정에서 요리할 때 물을 많이 사용하고, 실내에서 빨래를 자연 건조시키며, 화분도 키우기에 실내 습도가 상당히 높다는 점이다. 관리 측면에서 거주자의 건강을 위해 온·습도계를 집 안에 두고 온·습도를 관리하는 것이 좋다. 적정 환기량 사람 기준_ 한 사람에게 필요한 신선한 공기량은 30㎥/h이다. 따라서 4인 가족에게 필요한 환기량은 시간당 120㎥다. 환기 설비 용량은 추가 충량과 배관 손실 등을 감안해 1.5배 정도를 곱한다. 30㎥ × 4인 × 1.5 = 180㎥/h 건축물 기준_ 바닥면적 200㎡, 층고 2.5m인 주택의 국내 법적 환기율 0.5회/h이다. 200㎡ × 2.5m × 0.5회/h = 250㎥/h 단, 바닥면적 기준은 욕실, 현관, 계단, 창고 등을 모두 포함한 면적이며 오픈 공간은 별도로 계산한다. ![]() ![]() ![]() < Country Home News > |
|
-
[BLIND STORY] 소비자 욕구에 맞춘 다양한 블라인드 종류
전동 블라인드의 필요성최근 많은 건축물이 자연광을 받아들이기 위해 공간을 넓히고 창호를 크게 낸다. 이러한 창호는 노약자나 임산부에겐 여닫기가 부담스럽고, 창호를 통해 들어오는 태양의 복사열과 자외선이 걱
2018-04-24 -
[BLIND STORY] 소비자 욕구에 맞춘 다양한 블라인드 종류
블라인드의 종류소비자 욕구에 맞춘 다양한 제품블라인드는 ‘차양재의 선두주자’라고 불린다. 커튼, 블라인드, 어닝Awning, 외부 차양 등 여러 차양재 중 블라인드가 우리에게 가장 친근하기 때문이다.
2018-03-30 -
[사색의 공간] 집과 건축 Dwelling and Architecture 상식의 차이
집과 건축 Dwelling and Architecture글양성필건축사(건축사사무소 아키제주 대표) CONTENTS01 건축사 02 상식의 차이03 집과 건축04 내 집을 내가 그리면 안되나05 내 집을 내가 지으면 안되나06 디자이너
2018-03-30 -
[쾌적한家, 건강한家] 열교, 곰팡이, 단열
열교, 곰팡이, 단열‘무엇 때문에 제로에너지주택을 만드는가.’제로에너지주택은 개인에게도 국가에도 필요하다. 에너지 비용을 한 푼도 내지 않고 생활할 수 있다면 좋아하지 않을 사람이 없으며, 원료를
2018-03-27 -
[쾌적한家, 건강한家] 제로에너지주택의 필요 요소 개론
제로에너지주택의 필요 요소 개론CONTENTS01 제로에너지건축물의 정의와 실현 가능성02 제로에너지주택의 필요 요소 개론03 열교, 곰팡이, 단열04 좋은 창호의 선택과 하자를 줄이기05
2018-02-26
-
[ARCHITECT COLUMN] 코로나19 대응 위한 안심주택 만들기
코로나19 대응 위한 안심주택 만들기글윤택식(집스터디건축사사무소 대표 건축사)무작위로 노출되는 공공 밀집시설의 위험성을 알게 해준 코로나19 바이러스. 이로 인해 사람들의 행동패턴이 바뀌고 있고 기업의
2020-04-27 -
['19년 1월호 특집 4] 우리 집 건강 지킴이, 열 회수 환기장치
우리 집 건강 지킴이, 열회수 환기장치고단열·고기밀 주택에서 ‘열회수 환기장치’는 필수품이다. 이 장치는 실내의 공기를 교체하고 습도를 조절해 곰팡이의 성장을 억제하며, 공기 오염물질
2019-01-24 -
[쾌적한家, 건강한家] 제로에너지주택을 위한 물과 열관리
제로에너지주택을 위한 물과 열관리CONTENTS01제로에너지건축물의 정의와 실현 가능성02제로에너지주택의 필요 요소 개론03열교, 곰팡이, 단열04좋은 창호의 선택과 하자를 줄이는 요령05차양의 효과적 설치06주
2018-12-26 -
['18년 8월호 특집 5] IoT 기술 접목 스마트 창문과 도어락
IoT 기술 접목 스마트 창문과 도어락아침에 눈을 뜨자 집 안 전등이 켜지고 커피포트가 때맞춰 물을 끓인다. 집을 나서면 모든 문이 자동으로 잠기고 전기 기기들은 알아서 꺼진다. 자동차에 올라 스마트폰으로
2018-08-27 -
[기업 REPORT] 주거 문화를 선도하는 (주)미래이앤씨
주거 문화를 선도하는 ㈜미래이앤씨지붕과 기둥 또는 벽을 갖추면 법적인 건축물이지만, 이것만으로 주택의 필요충분조건을 모두 갖춘 것은 아니다. 거주자가 건강하고 쾌적하게 지속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환경
2018-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