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ECTURE DESIGN] 데칼코마니 | |
2020-04-27 | |
![]() 데칼코마니 이번 호에 소개할 사연은 어린 자녀와 작은 농장을 가꾸며 소소한 삶을 담을 작은 집을 짓는 게 꿈인 한 가장의 이야기다. 로우크리에이터스는 가족이 거주할 공간을 ‘면적’이 아닌 점유하는 ‘시간’으로 풀어냈다. 구성 백홍기 기자 | 글 양인성(로우크리에이터스 소장) | 자료제공 로우크리에이터스 ![]() 침실 2개 화장실 2개 층수 지상 2층 HOUSE PLAN 건축면적 49.00㎡(14.82평) 연면적 88.72㎡(26.83평) 최고높이 7.3m(가중평균지표 기준) 공법 철근콘크리트조 지붕재 스페니쉬 기와 외벽재 스타코 외단열 시스템 창호재 72㎜ 알루미늄 3중창호 내벽재 백색 도장 바닥재 강마루, 포세린 타일 수전 등 욕실기기 아메리칸 스탠다드 현관문 단열 강화도어 가구 현장 제작 설계 LOW CREATORs 설계자 권재돈, 양인성 ![]() ![]() “평소 가족들이 소형주택에 관심이 많아 관련 자료를 많이 보고 연구하는 아빠입니다. 주말에는 아이들과 주말농장을 가꾸고 평일에 소형 사무실로 쓰고자 파주에 조그마한 토지를 마련했습니다. 길은 좁지만, 앞이 확 트인 밭이 있고 낮은 언덕이 있어 채광도 좋고 답답하지 않아 구입했는데, 최근 이곳에 공장이 들어섰습니다. 좋았던 채광과 경치가 사라져 허탈함에 계획에 회의가 들었지만, 가족만을 위한 자그마한 집을 그려보며 다시 마음을 다잡고자 합니다.” ![]() ![]() #설계 계획 사연을 읽고 가장 먼저 떠오른 생각은 건물 형태가 아닌 공간의 배치방식이었다. 쌍둥이 딸과 함께 보내는 시간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축주를 위해 단순하지만, 공간의 재미를 느낄 수 있는 배치와 구성을 제안해 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집을 남측에 있는 도로와 새로 생긴 공장과 거리를 두고 최대한 북쪽에 붙여 배치했다. 이로 인해 남쪽에 넓은 마당이 생겼다. 공장이 들어서면서 해친 전경은 조경으로 해결하고 건물 뒤에 창고를 설치해 필요한 물품을 보관하도록 계획했다. ![]() ![]() #공간구성 언덕에 있는 대지 특성을 살려 기단을 쌓아 집을 올리고 주차는 낮은 곳에 배치했다. 차를 대고 낮은 언덕을 오르는 시간은 집에 돌아왔다는 느낌을 주기에 적당하다. 집은 좌우대칭이다. 공간 크기는 넓이가 아닌 점유하는 시간으로 가늠한다. 작은 집 전체 공간을 한눈에 모두 보여주기보다 회유동선을 따라 집 안 곳곳을 돌며 공간의 숨은 부분까지 탐색하기를 바랐다. 1층은 가운데 계단을 중심으로 회유하는 동선이다. 남측의 커다란 창을 통해 여름에는 문을 열어 현관을 확장해 마당을 적극 끌어안고, 겨울에는 따뜻한 남향 빛을 집 안 곳곳에 충분히 받아들인다. 아이들은 계단을 중심으로 거실과 부엌을 돌아다니며 집 안 곳곳을 체험하고 공간 분위기를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될 것이다. 2층으로 오르는 길 천장에는 창이 있어 계단실 구석구석을 밝게 비춘다. 2층에 오르면 아이들과 함께 책을 보는 작지만 충분한 책상이 있다. 이곳에서 뒤편으로 보이는 자연을 조망하며 시간을 보내는 가족들의 모습을 상상해 본다. 가족실에서 뒤를 돌아보면 대칭으로 배치한 방이 뻗어있다. 그 사이로 멀리 전경이 보인다. 규모가 작은 집이지만, 집 안에서 원근감과 함께 깊이감이 전해진다. 방마다 달린 장지문은 방에 있는 사람들과 소통하는 기능을 제공해 막힘없는 공간을 형성한다. ![]() 요즘 들어 많은 이들이 방에서 보내는 시간이 줄어들어 방 크기는 침대가 들어갈 정도로 줄였다. 방에서 집 안 곳곳을 살펴보도록 장지문을 달아 가족들과 소통하면서 아침에는 방 안쪽까지 은은한 빛이 흐르도록 했다. 또한, 천창을 마주한 벽면에 창을 내 누워서 하늘을 바라보며 잠이 들도록 계획했다. 작은 집일수록 수납이 중요하다. 우측에 있는 드레스룸에는 4인 가족에게 충분한 크기의 옷장을 배치해 수납에 부족함이 없도록 했다. 15평의 작은 집이지만, 공간을 체험하는 계단 배치와 부유하는 방을 통해 아이들이 집과 함께 성장하고 체험하면서 집에 대한 감성과 이야기를 채워가길 바란다. 사연을 보내주신 독자에게 감사드립니다. 집은 한 사람, 한 가족의 가치관을 담는 동시에 주변과 관계를 맺는 일이기도 합니다. 시간 들여 가족과 나 자신과 주변에 대해 생각해보고 그 이야기를 나누면서 행복한 건축 이야기를 써 내려가길 바랍니다. 그 시간에 로우크리에이터스가 작은 도움이 되었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사연을 받습니다 집을 짓고 싶거나 집에 대한 생각을 함께 나누면서 자신의 집을 그려보고 싶은 분은 아래 주소로 이메일을 보내주세요. 집의 면적과 규모(집터를 보유하고 있다면 필지 면적과 형태, 주변 환경 포함), 원하는 디자인, 가족 구성원, 방 개수, 기대하는 삶, 바라는 공간 등을 간략하게 적어 보내주세요. LOW CREATORs와 함께 여러분의 이야기를 담은 주택을 그려보기 바랍니다. 보내실 곳 lowcreators@gmail.com ※채택 된 사연은 <ARCHITECTURE DESIGN>지면에 소개합니다. ![]() 새로운 일상을 만드는 일상 제작소 ‘LOW CREATORs’ 는 건축을 통해 일상 속에서 공간이 주는 행복을 찾고 건축의 일상성과 삶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소규모 건축가 그룹이다. 디자인을 위한 디자인보다는 삶의 작은 틈 속에서 새로운 일상을 찾는 일에 매진하고 있다. 010-4789-8208 / 070-8833-3162 / lowcreators@gmail.com / www.lowcreators.com
![]() ![]() < Country Home News > |
|
-
[ARCHITECTURE DESIGN] 마음을 담다
마음을 담다PLANNING<주거공간>침실 3개화장실 2개<상업공간>레슨실 1개화장실 1개층수 지상 1층HOUSE PLAN건축면적 215.67㎡(65.2
2020-03-26 -
[ARCHITECTURE DESIGN] 편안함과 낭만 가득한 모던팜MODERN FARM 54평형
편안함과 낭만 가득한모던팜MODERN FARM 54평형자료협조㈜로하스홈HOUSE NOTEDATA건축구조 경량 목구조건축면적 134.55㎡(40.70평)연면적 180.34㎡(54.55평) 1층
2020-03-26 -
[ARCHITECTURE DESIGN] 그늘을 짓다
그늘을 짓다PLANNING침실 1개화장실 1개층수 지상 1층HOUSE PLAN건축면적 37.22㎡(11.25평)연면적 37.22㎡(11.25평)최고높이 3.75m(가중평균지표
2020-02-26 -
[ARCHITECTURE DESIGN] 심플하고 안정감 느껴지는 53평형 단독주택
심플하고 안정감 느껴지는53평형 단독주택전체 콘셉트시크한 분위기와 조형미 추구HOUSE NOTEDATA건축구조 철근콘크리트조, 경량 목구조건축면적 138.44㎡(41.87평)연면적 176.27㎡
2020-02-26 -
[ARCHITECTURE DESIGN] 숲속의 작은 집
숲속의 작은 집PLANNING침실 1개화장실 1개층수 지상 1층HOUSE PLAN건축면적 61.84㎡(18.78평)연면적 61.84㎡(18.78평)최고높이 4.70m(가중평균
2020-01-23
-
【2023년 03월】 CONTENTS FEBRUARY Vol.288
SPECIAL FEATURE전원·단독주택 정원 관리법 및 식재 트렌드정원은 모든 전원·단독주택 거주자들이 가지고 싶은 요소이지만, 준비 없이 무턱대고 시작했다가 큰 낭패를 보기 십상이다. 처음에 무작정 잔
2023-02-23 -
【2023년 02월】 CONTENTS FEBRUARY Vol.287
SPECIAL FEATURE농가주택 리모델링, 성공을 위한 꿀팁정부는 귀농귀촌 사업을 오랫동안 진행하고 있다. 어떤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빈집과 인구감소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귀농귀촌 사업과 농촌주택 환경개선 프
2023-01-20 -
【2023년 01월】 CONTENTS JANUARY Vol.286
SPECIAL FEATURE탄소중립 시대 건축의 미래, 제로에너지 하우스‘탄소중립’은 21세기 전 세계의 공통된 목표다.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의 환경 파괴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글로벌 행동이 가속화하는 추세다
2022-12-23 -
【2022년 12월】 CONTENTS NOVEMBER Vol.285
SPECIAL FEATURE2022 대한민국목조건축대전 수상작㈔한국목조건축협회가 주관하고 산림청과 서울특별시가 후원하는 2022 대한민국목조건축대전이 지난달 2일 서울시청 시민청 바스락홀에서 개최됐다. 올해 20회를 맞
2022-11-24 -
【2022년 11월】 CONTENTS NOVEMBER Vol.284
SPECIAL FEATURE공업화 주택 현황과 활용 사례국내 건설 현장이 현장 중심에서 탈현장 건축(Off-Site Construction · OSC)으로 변하고 있어 주목된다. 예를 들면 골조, 각종 구조부재, 벽체 등을 공장에서 만
2022-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