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철근콘크리트주택] 튼튼한 구조 아름다운 조망 포항 주택 | |
2020-06-26 | |
![]() 튼튼한 구조 아름다운 조망 포항 주택 포항시 신광면 상읍리 비학산飛鶴山 자락 끝에 자리한 집. 비학산의 ‘학’과 건축주의 호 기천杞泉의 ‘천’을 합쳐 당호를 ‘학천재鶴泉齋’로 지었다. 입면은 직사각형 모양의 부지 형태에 맞춰 ‘ㄱ’자로 완성했는데, 마치 학이 양 날개를 펴고 비학산을 향해 날아가고 있는 것 같다. 글 사진 박창배 기자 HOUSE NOTE DATA 위치 포항시 북구 신광면 지역/지구 생산관리지역 건축구조 철근콘크리트조 대지면적 678.00㎡(205.10평) 건축면적 132.44㎡(40.06평) 건폐율 19.53% 연면적 128.20㎡(38.78평) 용적률 18.91% 설계기간 2018년 3월~7월 공사기간 2018년 8월~2019년 3월 건축비용 3억 3000만 원(3.3㎡ 당 700만 원) 시공 건축주 직영 MATERIAL 외부마감 지붕 - 평지붕 슬라브 벽 - 스타코 데크 - 화강석물갈기 내부마감 천장 - 고급천장지 벽 - 고급벽지 바닥 - 강화마루 단열재 지붕 - 비드법 보온판 외단열 - 비드법 보온판 창호 T44 복층유리 시스템창호(KCC, VEKA) 현관 철제도어(코렐) 조명 LED 주방가구 한샘 위생기구 절수형양변기(대림통상㈜) 난방기구 기름보일러(귀뚜라미) ![]() ![]() “결혼하고 30년 간 아파트에서만 살아왔어요. 노후에는 자연환경 좋은 곳에서 흙을 만지며 살고 싶었어요. 41년 동안 근무하면서 살아온 포항 인근에 집을 짓기로 했는데, 정년퇴직 10년 전부터 준비했어요.” ![]() ![]() ![]() ![]() 집 지을 부지는 공인중개업을 하고 있는 사회 후배에게 알아봐달라고 부탁했다. 포항 시내에서 30분 거리에 자리한 한적한 부지 두 곳을 소개받았는데, 한 곳은 바닷가이고 또 한 곳은 산자락 아래였다. 바닷가는 잠깐 머물기에는 좋을지 몰라도 거주하기에는 안 좋을 것 같다는 생각에 산자락 부지를 선택했다. 입지 조건, 땅 크기, 모양까지 마음에 쏙 들었다. 긴 직사각형 형태로 약간 비탈진 땅이었는데, 포항의 영산인 비학산이 대지까지 사뿐히 내려와 있고 마을 도로와 택지 사이에 얕은 개울이 위치하며 마을 도로 동쪽으로는 넓은 논이 펼쳐져 있는 한적한 시골이었다. 2014년 가을에 지목이 전田인 350평을 평당 25만 원에 구입하고, 대구와 부산에서 열리는 건축박람회를 다니며 집을 어떻게 지을까 구상했다. ![]() ![]() ![]() 설계 콘셉트에 맞는 철저한 시공 정년퇴직이 다가오자 건축주는 서둘러 집을 짓기 위해 공인중개사 후배에게 다시 건축사를 소개해달라고 부탁했다. 소개받은 건축사와 집에 대한 얘기를 나눴더니, 그 건축사는 다른 건축사를 추천했다고 한다. 건축사사무소아키토피아의 권우영 대표였다. “권우영 건축사와는 첫 만남에서 통했다고 할까요. 여러 모로 잘 맞았고 부부모임으로까지 관계가 발전했어요. 집에 대한 생각도 솔직하고 허심탄회하게 주고받았어요. 저희는 처음엔 2층 목조주택을 계획했어요. 하지만 2층 집이 보기엔 좋아도 나이 들면 활용도가 떨어진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목조주택보다는 내진에 강한 구조를 제안했고요. 의견을 조율해서 단층, 황토방, 일률적인 아파트 구조 탈피, 주방 전면 배치 등으로 정리가 됐어요.” ![]() ![]() ![]() ![]() 설계는 2017년 2월부터 시작했다. 설계를 진행하면서 일주일에 최소 1~2차례 미팅을 가졌고, 구조, 공간구성과 배치 등에 대해 서로의 생각을 주고받으며 차근차근 완성해나갔다. 그해 8월에 설계를 완료하고, 권우영 건축사에게 시공감리까지 부탁하고 직영으로 공사를 진행했다. 시공 역시 설계 콘셉트에 맞도록 꼼꼼하게 챙겨 기능성을 높였다. “2017년 11월 포항 지진으로 많은 주택들이 피해를 봤는데, 그 당시에 저희는 시공이 진행 중이었어요. 설계할 때 건축사가 전문가에게 구조설계를 맡겨 내진설계가 반영돼 있었지만, 기능성을 높이기 위해 철저하게 감리했어요. 레미콘 39대 분량의 콘크리트가 들어갔고, 기초에 철근 간격도 촘촘하게 시공했죠. 또 충분한 양생으로 콘크리트의 제 성능을 충분히 낼 수 있도록 유도했고요. 시공자의 실수로 대문 노출콘크리트 부분에 미장을 했다는 게 아쉽긴 하지만 구조, 기능, 미 모두 만족스러워요.” ![]() ![]() ![]() ![]() ![]() 시시각각 변하는 자연 풍경을 실내로 주택은 직사각형 모양의 부지 형태에 맞춰 ‘ㄱ’자 집으로 완성했다. 연면적 128.20㎡(38.78평) 단층으로 공용 공간과 사적 공간이 각각의 매스로 구분돼 있다. 현관을 따라 거실과 주방, 공용 욕실이 한 매스이고, 거실에서 꺾어진 복도를 따라 구들방, 손님방, 안방이 한 매스이다. 내부는 실마다 풍부한 경관을 적절히 유도했는데, 거실 전면창문을 통해서는 대문으로 연결되는 진입로가 훤히 보이고 텃밭과 앞산이 한눈에 들어와 계절마다 수확의 기쁨과 시시각각 바뀌는 자연의 변화무쌍한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 부부침실에서는 침대에 누우면 하늘이 보이고 전면창문을 열고 나가면 부부만 즐길 수 있는 별도의 외부 공간이 마련돼 있다. 낮에는 햇빛이 쏟아지고 밤에는 별빛이 쏟아지는 곳이다. ![]() ![]() ![]() ![]() 건축주 부부가 특별히 요구한 재래식 온돌방에서는 산자락을 바라보며 찜질을 즐길 수 있다. 손님방에는 광정光井을 두어 작은 실내 공간을 실외로 확장시켜 심리적 안정감을 도모했다. 복도에는 적당한 높이에 창이 설치돼 있는데, 이는 채광과 조망을 고려한 차원이다. 높낮이가 다른 창을 통해 주변 풍경을 감상하거나 마을길을 오가는 사람을 바라볼 수 있는데, 거실의 대형 창 너머로 보이는 조망과는 또 다른 맛을 느낄 수 있다. 인테리어는 복잡하지 않은 심플함을 강조했다. 색상도 외부와 동일한 흰색계열로 톤을 맞추고, 온돌방은 웰빙 콘셉트를 살려 황토와 편백나무를 사용했다. 2019년 2월 말에 완공하고 3월에 입주해 1년 넘게 전원생활을 하고 있는 건축주 부부는 집 짓는 과정이 무척 행복했고, 살아보니 권우영 건축사의 작품성에 매우 만족한다고 한다. ![]() “새로운 생활에 100% 만족은 못하지만 불편함도 없는 것 같아요. 특히 코로나19 때문에 손자손녀들이 이곳에서 생활하고 있는데 전원으로 오기를 잘한 것 같아요. 실내 어느 곳이든 조망이 좋다는 게 매우 만족스러워요. 외부에서 안방을 바라보면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설치한 가림막 구조물 때문에 답답해 보이는 점은 있지만, 안에서 보면 확 트였고 조망은 한 폭의 그림 같아요.”
![]() ![]() < Country Home News > |
|
-
[충주 철근콘크리트주택] 풍광 좋은 충주호가 한눈에 충주 주택
풍광 좋은 충주호가 한눈에충주 주택물의 도시라 불리는 충주. 그 중심엔 남한강과 충주호가 있다. 물의 도시란 별명으로 유명해진 건 남한강따라 이어진 드라이브 코스 때문일지도 모른다. 잔잔한 물결과 계명산과
2020-05-28 -
[성남 상가주택] 꿈을 담고 꿈을 만드는 공간 성남 상가주택
꿈을 담고 꿈을 만드는 공간 성남 상가주택“40대 중반에 꿈을 이뤘네요.”“아니요. 이제 시작입니다. 꿈을 이루기 위한 터를 만든 거죠.”안정적인 직장을 떠나 자신의 미래에 투자한 건
2020-05-28 -
[종로 철근콘크리트주택] 노후주택의 세련된 변신 종로 저에너지주택
노후주택의 세련된 변신종로 저에너지주택오래된 주거지인 종로구 계동. 이곳은 한옥과 더불어 오래된 단독주택들이 즐비해 리모델링이 활발한 곳이다. 건축법 제정·발효 이전에 지어진 주택이 많아 신축 시
2020-05-28 -
[영종도 상가주택] 차별화된 휴양형 셰어하우스 영종도 상가주택 달리
차별화된 휴양형 셰어하우스영종도 상가주택 달리‘달리’는 익숙한 인상의 다른 상가주택들과 달리, 새로운 시각의 건축물이길 바라는 마음으로 설계했다. 이곳에 사는 이들에게 익숙함이라는 틈에 &lsqu
2020-04-27 -
[종로 상가주택] 한국, 일본, 이탈리아 건축가 협업 서촌 협소주택
한국, 일본, 이탈리아 건축가 협업서촌 협소주택건축은 어울림이다. 주변 건물과 지역, 환경과의 조화와 균형점을 찾아가는 것이다. 지역색이 뚜렷한 곳은 더욱 신중함이 필요하다. 건축주는 서촌에 작은 단독주택을
2020-04-27
-
『2024년 01월』 CONTENTS JANUARY 2024 Vol.298
SPECIAL FEATURE예비 건축주를 위한 직영건축 가이드건축주가 업체 또는 시공 전문가를 직접 고용해 비용을 지불하고 집을 짓는 방식을 직영건축이라고 한다. 따라서 건축주는 공사현장을 직접 관리·감독하는
2024-01-01 -
【2023년 12월】CONTENTS December 2023 Vol.297
SPECIAL FEATURE2023 대한민국 목조건축대전 수상작(사)한국목조건축협회가 주관하고 산림청이 주최하며 국토교통부와 서울특별시가 후원하는‘2023 대한민국목조건축대전’에서 11개 준공 작품과 12개의
2023-12-01 -
【2023년 11월】CONTENTS NOVEMber 2023 Vol.296
SPECIAL FEATURE장점 살리고 단점 극복한 ALC 주택 짓기지난 2016년 포항·경주 지진 이후 조적조인 ALC 주택이 지진에 취약하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널리 퍼졌다. 최근에는‘순살 아파트’논란, 시멘
2023-11-01 -
【2023년 10월】CONTENTS October 2023 Vol.295
SPECIAL FEATURE건축주가 알아야 할 친환경 단열재단열재 종류가 무수히 많아 어떤 제품을 써야 할지 예비 건축주들이 결정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탄소중림 시대로 가는 요즘이기에 그 고민 이 더욱 깊어지리
2023-10-01 -
【2023년 09월】CONTENTS September 2023 Vol.294
SPECIAL FEATURE전원형 거주시설, 활기 띠는 수익형 주택 시장펜데믹 이후 국내 여행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여행객들의 눈길을 사로 잡을만한 숙박시설을 선보이는 업체들도 늘어나고 이런 수요 증가에 고무 돼 새
2023-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