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년 06월 특집 4】 상가주택 사례 나는 이렇게 상가주택을 지었다! 4-1 | |
2021-06-03 | |
![]() 상가주택 사례 나는 이렇게 상가주택을 지었다! 4-1 상가주택은 수익성을 목적으로 짓지만, 내면에 담긴 이야기를 들여다보면 수익보다 더 중요한 것들이 있다. 지역 개발로 기존 터전을 떠나야 했거나, 꿈을 이루기 위해, 흩어진 가족이 함께 모여 살려고 상가주택을 대안으로 선택한 것이다. 이번 사례에선 처한 형편이나 환경에 맞춰 성공적으로 상가주택을 완성한 이야기를 모았다. 글 백홍기 기자 자료 전원주택라이프 D/B 재개발로 터전 옮긴 3대 족발집 천호동에서 3대째 족발집을 운영하던 건축주는 지역 재개발로 인해 터전을 옮겨야 했다. 부지는 기존 상권에서 벗어나지 않고 천호동 내에서 알아봤다. 매입한 부지는 134.00㎡(40.53평)에 건폐율 60%, 용적률 400%를 적용받으므로 수직으로 공간 활용을 계획하고, 출퇴근이 쉽도록 상부에 주거 공간을 더했다. 입면은 한눈에 사람들의 시선과 관심을 끌면서 부담 없고 편안한 느낌을 주는 디자인이 필요했다. ![]() 이러한 조건에 맞춰 건물 정면 외벽이 ‘ㄹ’자로 이어지도록 창을 엇갈리게 배치해 역동성이 전해지는 파사드를 완성하고, 고벽돌과 블랙 프레임을 적용해 모던하면서 클랙식한 분위기를 냈다. 건물 규모는 손님 방문량을 고려해 1~3층을 상가로 계획하고 직원휴게실과 건축주 거주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5층으로 올렸다. 시공 시 특히 신경을 많이 쓴 부분은 배수와 주방 위생이다. 인테리어는 짙은 브라운과 빈티지 페인팅을 사용해 오염에 강하면서 개성 있는 분위기로 연출했다. 주거 공간은 64.08㎡(19.38평)로 면적이 좁지만, 무게감 있는 짙은 색 강마루와 블랙 컬러 몰딩 코너창, 블랙 타일 아트월을 적용해 세련되면서 웅장한 느낌이 나도록 연출했다. ![]() ![]() ![]() ![]() HOUSE NOTE 위치 서울 강동구 천호동 지역/지구 도시지역, 일반상업지역 건축구조 철근콘크리트조 대지면적 134.00㎡(40.53평) 건축면적 79.08㎡(23.92평) 건폐율 59.01%(법정 60%) 연면적 356.40㎡(107.81평) 1층 55.05㎡(16.65평) 2층 79.08㎡(23.92평) 3층 79.08㎡(23.92평) 4층 79.08㎡(23.92평) 5층 64.08㎡(19.38평) 용적률 265.97%(법정 400%) 설계 및 시공 ㈜더존하우징 1644-3696 www.dujon.co.kr ![]() ![]() 땅의 특성 살린 상가주택 삼각집 대지는 아파트 단지 건너 보행이 많은 도로변에 접한 삼각형 모양이다. 면적이 81㎡(25평)라 건물을 앉히기엔 좁았다. 건폐율을 최대한 활용한다고 해도 대지 형태 때문에 공간 구성이 어려웠다. 하지만, 부정형 땅을 이용해 입면이 풍성한 디자인을 보여준다면, 오히려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랜드마크 또는 이정표 역할을 하는 건물로 자리 잡을 거라고 생각했다. ![]() 이러한 점을 고려해 대지 모양을 그대로 형태화했다. 여기에 저층 상업 기능인 주차와 진입 계단, 상층부 주거 기능인 테라스 등이 삼각형 형상을 완성한다. 이러한 공간은 형태를 만들기 위한 인위적인 구성이 아니라 기능 공간이 그대로 외부로 표현된 것이다. 여기에 수직 루버로 그러데이션 시각 효과를 내 깊이감과 입체감을 더해 입면을 완성했다. 설계 시 중용한 포인트는 협소한 공간에 길과 연계된 상업 공간과 상층부 거주 공간의 효율적 배치였다. 건물 진입로는 가로에 면한 계단이 유일하다. 보행로와 이어진 계단은 1·2층 상업 공간과 상층 거주 공간을 공유하면서 도시 가로와 연결돼 다중적인 경계성을 드러낸다. 평면은 상층부 2개 층과 다락을 적층으로 쌓고, 수직계단과 층별 테라스 구성 전략으로 거주성을 확보했다. 3·4층과 다락을 연결하는 수직계단은 오브제 역할을 하고, 천창은 빛을 끌어들여 좁은 공간에 풍성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한다. ![]() ![]() ![]() ![]() ![]() ![]() HOUSE NOTE 위치 서울 동작구 상도동 지역/지구 도시지역, 제2종 일반주거지역 건축구조 철근콘크리트조 대지면적 81.40㎡(24.62평) 건축면적 48.83㎡(14.77평) 건폐율 59.98% 연면적 160.30㎡(48.49평) 1층 30.45㎡(9.21평) 2층 48.82㎡(14.76평) 3층 43.79㎡(13.24평) 4층 37.24㎡(11.26평) 용적률 196.93% 설계 리슈건축 홍만식 02-790-6404 https://blog.naver.com/richuehong2 시공 김지민, 장원석 010-4147-1317 ![]() ![]() ![]() ![]() ![]() < Country Home News > |
|
-
【21년 06월 특집 7】 상가주택 사례 나는 이렇게 상가주택을 지었다! 4-4
상가주택 사례 나는 이렇게 상가주택을 지었다! 4-4상가주택은 수익성을 목적으로 짓지만, 내면에 담긴 이야기를 들여다보면 수익보다 더 중요한 것들이 있다. 지역 개발로 기존 터전을 떠나야 했거나, 꿈을 이
2021-06-03 -
【21년 06월 특집 6】 상가주택 사례 나는 이렇게 상가주택을 지었다! 4-3
상가주택 사례 나는 이렇게 상가주택을 지었다! 4-3상가주택은 수익성을 목적으로 짓지만, 내면에 담긴 이야기를 들여다보면 수익보다 더 중요한 것들이 있다. 지역 개발로 기존 터전을 떠나야 했거나, 꿈을 이
2021-06-03 -
【21년 06월 특집 5】 상가주택 사례 나는 이렇게 상가주택을 지었다! 4-2
상가주택 사례 나는 이렇게 상가주택을 지었다! 4-2상가주택은 수익성을 목적으로 짓지만, 내면에 담긴 이야기를 들여다보면 수익보다 더 중요한 것들이 있다. 지역 개발로 기존 터전을 떠나야 했거나, 꿈을 이
2021-06-03 -
【21년 05월 특집 5】 자연 끌어들인 치유 공간, 생활정원
자연 끌어들인 치유 공간,생활정원정원이 꼭 크고 멋져야만 유익한 환경을 제공하는 건 아니다. 작은 정원도 고단한 몸과 마음을 위로하는 휴식처로써 좋은 공간이 될 수 있다. 값비싼 수목을 심어야만 정원이 완성되
2021-05-12 -
【21년 05월 특집 4】 팬데믹 시대의 처방전, 힐링정원 가이드 (2-2)
팬데믹 시대의 처방전, 힐링정원 가이드 (2-2)정원을 가꾸다 보면, 이리저리 얽힌 생각들이 스르르 풀려 가지런해진다. 이렇듯 자연을 섬세하게 보고, 만지고, 냄새 맡고, 직접 키운 채소를 맛보는 등의 정원 일
2021-05-12
-
【HOUSE STORY】 가파른‘사선’과 ‘비대칭’의 파격미 광교 주택 ‘필그림’
가파른‘사선’과 ‘비대칭’의파격미 광교 주택 ‘필그림’무수한 수직과 수평이 다양한 비례로 교차하며 오르던 입면立面. 지붕에 이르러 가파른 ‘사선斜線의 파격’을
2022-08-10 -
【HOUSE REMODELING】 마감재 고유의 특성을 살린 단정함 목동 상가주택 리모델링
마감재 고유의 특성을 살린 단정함 목동 상가주택 리모델링목동역 교차로와 만나는 오목로 8차선 도로에서 주택가로 향하는 2차선 도로에 들어서면 여느 도시의 한적한 주택가 풍경과 만난다. 다소 오래돼 보이
2022-02-27 -
【HOUSE STORY】 일, 육아, 놀이 한 번에 해결한 평창동 방주 주택
일, 육아, 놀이 한 번에 해결한평창동 방주 주택일과 육아. 어느 것 하나 포기할 수 없다. 애니메이션 감독인 남편과 한의사인 아내가 올해 10살, 8살, 4살 된 아이들을 일하면서 함께 돌보기 위해 집을 짓기로 했다
2022-02-03 -
【HOUSE STORY】 도자예술마을에 들어선 붉은 요새 이천 상가주택
도자예술마을에 들어선 붉은 요새 이천 상가주택사랑하는 사람은 서로 닮아간다고들 말한다. 가족, 연인은 물론이거니와 심지어 반려동물 역시 주인의 모습을 닮는다. 그런 점에서 이천 상가주택은 건축주인 도
2022-01-10 -
【ARCHITECT CORNER】 도시 가로와 경계가 유연한 상가주택 서울 양재 보이드 라인 Void Line
도시 가로와 경계가 유연한 상가주택 서울 양재 보이드 라인 Void Line보이드 라인은 버려지기 쉬운 도시 필지 간, 도시 가로와의 경계가 시각적, 공간적으로 경험되는 유연한 관계의 장으로 바꾸는 제안이다.
2022-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