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자기한 설계미 돋보이는 일본의 주택
2001년 1월호
지면발행
일본에서는 최근 철골구조의 주택건축이 유행하고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대부분의 집들이 일본에서 흔한 삼나무(스기)를 이용해 기둥을 세우고 보를 걸치는 전통적인 축조방식으로 지어졌다. 하지만 최근에는 여러 업체에서 개량된 기둥-보 구조방식과 조립 방식을 개발해 많은 집들을 짓고 있다. 일본의 대표적인 단독주택 건설전문업체인 다이와 하우스의 경우 전통적인 ...
“34년전 평당 1전에 마련한 땅입니다”
2001년 1월호
지면발행
내린천,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북쪽으로 흐르는 하천이다. 양양군 서면 복령산에서 발원하여 홍천군 내면 광원리에서 창촌리로 흘러드는 자운천과 합류하여 이루어지는 이 내린천의 물줄기에는 많은 산과 오염되지 않은 하천이 있다. 특히 내린천에 합류되는 방태천의 발원지인 인제군 점봉산 자락에 있는 진동계곡의 설피마을은 오지탐험으로 유명한 곳이다.
컨테이너 2개 붙인 후 2층 목구조로 올려 지은 40평 주택
2000년 8월호
지면발행
이 집은 컨테이너 하우스의 상식을 깼다. 컨테이너로 지은 주택이란 것을 전혀 상상할 수 없다. 목조주택 전문시공업체인 나무와집의 문병화 사장이 사는 이 집은 두 개의 컨테이너를 나란히 붙여 1층을 만들고 그 위에 목구조를 올려 지은 2층집이다. 남양주 수동에 있는 목조주택 느낌의 컨테이너 하우스를 소개한다.
실용성에 중점 두고 설계 시공한 42평 목조주택
2000년 9월호
지면발행
어쨌든 내 땅에 곡식을 심을 수 있게 된 것만도 기쁜 일이었다. 텃밭 한쪽에 임시로 조그만 간이 창고를 지어 놓고 쉬는 날이면 그 곳에서 머물며 밭을 가꾸었다. 그렇게 농사를 짓기 위해 2년여를 오간 뒤 비로소 올 봄 본격적인 건축에 들어갈 수 있었다. 아파트를 처분한 돈과 조금 모은 돈을 합쳐 목조주택을 짓기로 하고 건축은 삼우하우징에 의뢰했다. 설계단계에서 부터...
실내에 정원꾸민 독특한 구조의 목조주택
2000년 10월호
지면발행
누구나 한번쯤은 모든 것을 훌훌 털어 버리고 자연 속으로 들어가 살고픈 생각을 하게된다. 특히 답답한 도시에 사는 사람은 더욱 그러할 것이다. 하지만 이를 실천에 옮기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이것저것 걸리는 것이 너무도 많다. 무엇보다도 아이들의 교육문제와 생활터전의 변화가 그러하다. 때문에 대부분 사람들은 이러한 전원에 대한 동경을 그저 단순한 동경에...
국산 잣나무와 적송으로 지은 2층 목구조주택
2000년 10월호
지면발행
이 집은 60평 규모의 2층 목구조주택으로 1층이 43평, 2층이 17평이다. 구조체는 2×6 벽체는 2×4가 쓰였는데 모두 국산 잣나무가 사용됐다. 벽체구조는 통상적으로 바깥쪽에 OSB를 대고 안쪽엔 석고보드로만 시공하는 것과 달리, 양쪽에 OSB를 대고 다시 석고보드를 댄 뒤 한지벽지와 핸디코트로 마감했다. 밖으로는 목재 사이딩으로 마무리했다. 내부에 사용된 목재들도 대부...
아파트생활 정리하고 마련한 마당 넓은 단층 목조주택
2000년 10월호
지면발행
건축은 그 이듬해부터 시작됐다. 경사가 심해 토목공사가 우선이었는데 낮은 쪽으로 축대를 쌓은 뒤, 흙을 북돋워 평평하게 지반을 골랐다. 이 때 남은 흙은 마당 한쪽에 쌓아 놓았었는데 지금은 꽃과 나무가 심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작은 동산이 됐다. 97년 여름부터 시작된 건축은 그해 11월 마무리되었다. 건물형태는 43평 규모의 단층 목구조주택. 방 3개에 거실과 주방, 화...
고향땅 지키며 지은 H빔 골조의 2층 목조주택
2000년 6월호
지면발행
집은 55평 규모로 실내 구조는 1층의 경우, 방 2, 거실, 주방, 화장실 등이 있고, 2층엔 방 2개, 화장실이 있다. H빔으로 골조를 세우고, 벽체는 우레탄패널이 사용됐다. 외벽마감은 비닐사이딩에 적절히 벽돌을 사용했고 내벽 마감은 벽지. 건축비는 평당 2백10만원 정도로 모두 1억1천5백만원이 들었고, 조경과 담장 비용으로 1천만원이 추가로 들어갔다. 증여 받은 땅이었기...
실내 인테리어 돋보이는 2×6 목구조 2층 주택
2000년 7월호
지면발행
전체적으로 각 기능적 분류를 분명히 해 아기자기한 실내구조를 가지고 있다. 실내 마감을 대부분 흰색 회벽으로 처리해 깔끔한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부분적으로 자연목을 이용, 인테리어 효과를 줌으로써 자칫 단조로울 수 있는 요소를 배제했다. 바닥재는 온돌마루이며 계단, 천장, 창호 등엔 오크, 홍송, 더글러스퍼 등이 적절히 사용됐다. 외부 데크도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호주산 벽돌로 외부 마감한 중후한 느낌의 목조주택
2000년 7월호
지면발행
이 집은 일반적인 전원주택에서 흔히 볼 수 없었던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설계상 가장 큰 특징은 현관부분에 전통주거양식을 응용해 중정을 설치하였다는 점이며 중정을 2층까지 오픈시켜 2층에는 별도의 데크를 두어 툇마루와 같은 기능을 추가했다. 또 미국식 목조주택의 구조에 외벽을 호주산벽돌로 마감해 목조주택의 시각적인 가벼움을 보완하여 중후한 느낌을 만들어...
동생네와 함께 살기 위해 지은 집
2000년 7월호
지면발행
김대환씨는 동생네와 함께 살기 위해 운암저수지가 내려다 보이는 전주시내에서 가까운 임실군 운암면에 2층짜리 목조주택을 지었다. 집을 짓고 나자 주변에서 카페인줄 알고 찾아오는 사람들이 많아 아예 근린생활시설로 용도를 변경하였다. 집을 지으면서 업체선정을 잘못하여 처음에는 마음고생도 많이 했지만 (주)홈즈를 만나 경제적이고 튼튼한 집을 지을 수 있었다. (이 ...
H빔으로 골조 세우고, 친환경성 강조한 2층 목조주택
2000년 7월호
지면발행
구조적으로는 돔과 타원을 적절히 구사해 부드러운 느낌을 강조했고, 데크와 포취에도 신경을 써 외부 활동 범위가 넓어지도록 했다. 포취는 12.9평이며, 데크는 14.6평으로 외부 여가 공간만도 모두 27.5평에 이른다. 사용된 목재는 스프러스, 더글러스퍼 등이다. 내부에서는 거실의 경우 비잔틴 양식의 돔으로 처리하고, 중앙에 천창을 달아 햇빛이 거실 바닥에 닿을 수 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