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등록 RSS 2.0
장바구니 주문내역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home
기사 분류 > 전원주택 > 건축정보
[자재가이드] 다양한 욕실 방수 자재
2018년 5월 24일 (목) 00:00:00 |   지면 발행 ( 2018년 5월호 - 전체 보기 )

다양한 욕실 방수 자재

건축주가 건축 구조를 정한 후 많이 고민하는 부분이 방수와 단열일 듯하다. 하지만, 건물 전체의 단열과 방수는 신경을 쓰면서 의외로 욕실 방수를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욕실 방수의 종류는 멤브레인Membrane, 시멘트 모르타르, 침투성 방수 등 다양하다. 이중 건축주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멤브레인 도막 방수 자재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이상현 기자
취재협조 투바이포 박세련 실장 1661-2744 www.2×4.co.kr

글 싣는 순서
01세라믹 사이딩
02독일식 시스템창호 선택에 따른 특성 및 성능
03단열재 등급별 금액 비교
04다양한 인테리어 합판
05다양한 시멘트 사이딩
06기밀 자재 종류 및 기능
07하우스랩 종류와 선택
08열교환기 종류 및 특징
09다양한 욕실 방수 자재
10빈티지 감성 건축자재들
11모던 감성 건축자재들
12다양한 소핏 벤트
13적은 돈으로 큰 효과를 주는 건축자재
14미국식 시스템창호 브랜드별 등급 및 특징

멤브레인 방수는 시공 방법에 따라 아스팔트 방수, 시트 방수, 도막 방수로 구분한다. 욕실 방수는 건축구조마다 비슷하지만, 목조주택에는 주로 시트 방수와 도막 방수를 사용한다. 아스팔트 방수와 시트 방수의 경우 전문 시공업체의 기술과 장비가 필요하기에 개인이 시공하기 어렵다. 하지만, 도막 방수는 목수 혼자 시공할 뿐만 아니라 추후 건축주도 직접 자재를 구입해 쉽게 보수할 수 있다.

도막 방수
도막 방수는 수성 또는 유성 액상 방수제를 바닥 면에 바른 후 수분과 용제가 증발하고 남은 막을 방수에 이용하는 방법이다.

도막 방수 자재 중 인기 있는 제품은 속건형速乾形 탄성 도막 제품이다. 건조 속도가 빨라 공기工期가 짧고 시공이 간단하기 때문이다. 또한, 복잡한 형태에도 시공할 수 있고, 친환경 소재를 사용해 냄새도 없다. 폐기물이 생기지 않는 것은 덤이다. 그뿐만 아니라 접착력이 우수해 타일 접착도 용이하고, 탄성이 있어 구조체 변형에도 최소한의 방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막 방수의 특성상 외상에 약하므로 후공정 시 주의가 필요하다. 이를 보완하고자 코너 및 배관 부분의 방수를 보강하기도 한다.

시트 방수
시트 방수는 목조주택의 욕실 방수에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방수층의 두께가 균일해 효과가 뛰어나다. 비교적 시공 기간이 짧고, 상온 공법으로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기온 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을 어느 정도 견디는 신축성까지 있다. 그러나 이음매 결합 부분 시공에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복잡한 형태에는 시공이 어렵고, 하중과 충격에 비교적 약하다.

한 업체는 시트 방수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열풍 융착 시스템을 개발했다. 일정한 온도의 열풍과 압력으로 시트와 시트를 균일하게 일체화시키는 방법이다. 열풍 융착으로 겹쳐진 시트의 강도는 단일 시트보다 강하며 연결부가 경화되지 않는다. 화학 용제, 아스팔트 등 이음부 연결 방식에 비해 연결 수명이 월등히 우수하다. 또한, 비접착 건식 고정 시스템 방식으로 습기에도 영향을 받지 않아 하자가 적다. 구조물의 뒤틀림 등 변형에 의한 영향이 적을 뿐만 아니라 일체된 통구조로 시트 방수의 장점까지 그대로 살린 시스템이다.

아스팔트 방수
아스팔트 방수는 아스팔트 루핑 또는 아스팔트 펠트를 용융 아스팔트로 바탕에 접착시키고 여러 층으로 포개서 방수층을 구성하는 공법이다. 옥상이나 욕실 외에 화학약품을 취급하는 바닥 마무리의 내식성耐蝕性 피복으로도 쓰인다.

콘크리트조는 표면을 평탄하게 마무리하여 충분히 건조한 후 아스팔트를 용제溶劑로 묽게 한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바탕으로 한다. 목구조는 펠트를 못으로 박아 고정시켜 바탕으로 한다. 아스팔트 방법에 따라 열 공법, 냉 공법, 시트 공법으로 구분한다. 열 공법은 루핑, 펠트에 열을 가한 후 아스팔트 컴파운드를 도포하는 방법을 반복하는 것이다. 방수 능력은 뛰어난 편이지만, 열에 의한 화상과 발화 위험성이 있고, 악취가 날 수 있다. 냉 공법은 인위적인 가열 대신 상온에서 아스팔트를 점착시키는 것이다. 시트 공법은 아스팔트를 개량해 만든 루핑 시트재에 토치로 열을 가해 융융시킨 후 바닥에 접착하는 것이다.

간혹 방수를 철저히 한다는 목적으로 몇 가지 재료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자칫하면 두 가지 제품의 성능을 모두 잃을 수 있는 위험한 방법이다. 두 가지 이상의 방수 방법을 혼합으로 사용할 경우, 각 제품의 물성을 꼭 확인해야 한다. 함께 사용해도 되는 제품인지, 마감재와 잘 융합되는 제품인지 점검하고 시공해야 쾌적한 욕실을 만들 수 있다.

수입제품
MAPEI




아쿠아디펜스
원산지: 이탈리아
용량: 15㎏
도포 면적: 15㎡(2회 도장 기준)


마페밴드
사이즈: 120㎜ × 50m
이음매 보강용




마페밴드 인코너
사이즈: 120㎜ × 280㎜
인코너 부분 보강용

OTTO

오토플렉스
원산지: 독일
용량: 7㎏, 12㎏
도포면적: 7㎡, 12㎡(2회 도장 기준)


실링 테이프
사이즈: 120㎜ × 50m
이음매 보강용


프라이머
용량: 1㎏, 5㎏
흡입하는 성질의 바닥용 사전 처리제


아웃코너 테이프
사이즈: 150 × 60㎜
아웃코너 보강용


벽체용 실링 슬리브
사이즈: 120 × 120㎜
벽 배관 보강용


바닥용 실링 슬리브
사이즈: 425 × 425㎜
바닥 배관 보강용

AMES


블루맥스
원산지: USA
용량: 19㎏
도포 면적: 25㎡(2회 도장 기준)


SEAM TAPE
사이즈: 50㎜ × 15.24m
            100㎜ × 15.24m
이음매 보강용

국산제품
AGM
워터루
원산지: 한국
용량: 18㎏
도포면적: 25㎡(2회 도장 기준)


밴드마스터
사이즈: 100mm × 20m
이음매 보강용

<Country Home News>

인쇄하기   트윗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네이버 구글
태그 : 욕실욕실자재방수욕실방수도막방수아스팔트방수시트방수
이전 페이지
분류: 건축정보
2018년 5월호
[건축정보 분류 내의 이전기사]
(2018-05-24)  [기업 REPORT] 친환경 건강 주택 만들기 가야황토벽돌사업
(2018-05-24)  [BLIND STORY] 전동 블라인드의 제어 시스템
(2018-05-02)  [법령산책] '건축분쟁전문위원회' 조정 사례로 보는 건축 분쟁 해결 가이드
(2018-05-02)  [사색의 공간] 집과 건축 Dwelling and Architecture 집과 건축
(2018-04-25)  [기업 르뽀] 전통 구들과 현대식 난로의 결합, (주)구들 구운돌 벽난로
[관련기사]
[공간 인테리어] 하루의 시작을 상쾌하게 만드는 산뜻한 욕실 (2020-01-22)
[눈에 띄네] 비데, 어떤 게 좋을까 전기료 절약과 최첨단 세정 기능까지 (2019-02-25)
[눈에 띄네] 겨울철 욕실 체감온도 올리는 스마트 방한 아이템 (2019-01-24)
[자재 정보] 국산 방수시트의 새로운 시작 씨티 프로텍 (2019-01-24)
[눈에 띄네] 욕실을 뽀송뽀송한 공간으로 업그레이드 (2018-09-21)
['18년 1월호 특집] 고기밀의 핵심, 공기와 습기 제어 투습·방수지 vs 기밀·방습지 (2018-01-24)
[DESIGN POINT] 건축가의 집 이야기 11 - 방수 (2017-11-01)
[INTERIOR SUGGESTION] 욕실, 몸도 마음도 상쾌하게! (2017-05-01)
[Hot Product] 따뜻하고 뽀송뽀송한 욕실, 케이마루 '따솜피아' (2016-12-26)
[INTERIOR ANALYSIS] 위생공간 분리하는 인테리어 (2016-11-01)
전원주택 (5,630)
황토 (336)
목조/통나무 (997)
철근콘크리트 (484)
스틸하우스 외 (306)
건축정보 (1,654)
설계도면 (458)
동영상 (462)
전원주택단지 (120)
특집/기타 (813)
펜션/카페 (241)
전원생활 (908)
정원 (312)
월별목차 (40)
분류내 최근 많이 본 기사
[전시 소개] 2019 슬로우퍼니...
충주 과수원의 적정 매입가격...
[자재가이드]외장재의 터줏대...
누구나 지을 수 있는 집, 스...
가정용 극장· AV HOME THEA...
전원주택 짓기 ABC ③ 건축가...
[OUTDOOR LIFE] 시원한 그늘...
[MATERIALS GUIDE] ‘기능·...
[녹색 집 짓기, 생태건축] 국...
[BLIND STORY] 소비자 욕구...
과월호 보기:
상호/대표자 : 전우문화사/노영선  |  사업자등록번호 : 105-41-60849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04-01800호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마포 라00108  |  주소 : 서울 마포구 성산로 124, 6층 (성산동,덕성빌딩)
TEL: 02-323-3162~5  |  FAX: 02-322-8386  |  이메일 : webmaster@countryhome.co.kr
입금계좌 : 기업은행 279-019787-04-018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윤홍로 (02-322-1201)

COPYRIGHT 2013 JEONWOO PUBLISHING Corp.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
회사소개  |  매체소개  |  사업제휴  |  정기구독센터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사업자정보확인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 전우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