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풀어보는 신한옥 시공 과정_한옥 목구조 팔작지붕(겹처마) 한옥 | |
2013-07-01 | |
![]()
![]() 한옥 목구조 뼈대에 기와 공사까지 마친 모습. 살림집으로서 신한옥의 기본은 외형에서 한옥이란 느낌이 들어야 하고, 골격은 사개(사괘)맞춤 방식 뼈대 집이어야 하고, 벽체는 생태적 흙집이어야 하고, 여름과 겨울나기 공간인 마루와 구들을 드려야 한다. 이러한 기본에다 맞배지붕, 우진각지붕, 팔작지붕 등 지붕 모양을 달리하고, 창호 방식과 마감 사양을 현대적이되 친환경 소재를 결합하면 현대 건축으로서 손색이 없다. 살림집으로서 전통 한옥을 계승한 용인시 양지면 남곡리 139.5㎡(42.0평) 한옥 목구조 팔작지붕(겹처마) 신한옥의 시공 과정을 따라가 보자. 글 사진 이동일 행인흙건축 033-344-0983 www.,hangin.co.kr 전통 한옥 살림집을 현대적으로 계승하는 신한옥 또는 현대 한옥이 지켜야 할 네 가지 기본 원칙이 있다. 첫째, 그 민족을 일차적으로 구분하는 얼굴 모양이 있듯이 외형에서 ‘한옥’이구나 하는 느낌이 들어야 한다. 둘째, 골격인 구조 방식인데 살림집 한옥은 규모가 크거나 작거나 ‘사개맞춤 방식의 뼈대 집’이어야 한다. 즉, 기둥과 도리, 보로 집의 뼈대를 이루는 납도리(민도리) 또는 굴도리 형식의 기본을 갖춰야 한다. 셋째, 벽체 방식에서 인간의 생체 리듬을 가장 잘 반영하는 ‘생태적 흙집’이어야 한다. 단열재로 꼭꼭 둘러싼 막힌 집이 아니라, 숨도 쉬고 습도도 조절하는 흙벽의 기능을 살려야 한다. 넷째, 여름과 겨울을 나는 지혜인 ‘마루와 구들’의 계승이다. 공간 배치에 따라 어울리는 누마루, 툇마루, 쪽마루 그리고 현대인의 약방 구실을 하는 구들방은 한옥의 백미다. 이 기본 원칙에다 지붕 모양이 맞배지붕이냐, 팔작지붕이냐 그리고 팔작지붕 중에서도 홑처마냐, 겹처마냐 하는 형식에 따라 집의 느낌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창호 방식과 마감 사양을 현대적이되 친환경적인 소재를 결합해 나가면 한옥은 현대 건축으로 손색이 없다.田 목구조 뼈대, 처마, 지붕, 기와 공사 ![]() ![]() 간이 주추에 기둥을 맞추고 장혀, 도리, 보를 맞추기 위한 떡메치기. ![]() 공간 구조로 이뤄진 납도리 집 뼈대. ![]() 사개맞춤을 한 원형 기둥과 도리. ![]() 지붕의 경사 물매를 잡기 위한 중도리, 종도리 시공. ![]() 내부 오량 천장 서까래 걸기. ![]() 오량 천장 서까래 위 개판 깔기. ![]() 개판 위 열 반사 단열재 덮기. ![]() 추녀 걸기_지붕 모서리 양쪽 보머리 홈을 따서 맞추고 중도리에 고정. ![]() 서까래 걸기_평고대(초매기)로 곡을 잡고 (처마)도리와 중도리에 고정. ![]() 추녀 부분 서까래 걸기_팔작지붕의 선자扇子 서까래. ![]() 후면과 측면에 서까래 걸기. ![]() 서까래에 개판 덮기. ![]() 부연附椽 작업(겹처마)을 위한 추녀 위 사래 걸기. ![]() 평고대(이매기)에 부연, 착고판 시공. ![]() 착고까지 부연 개판을 고정. ![]() 내부 오량 상량도리(마룻대)에 상량문 쓰기. ![]() 상량 후 마룻대 위에 단연 서까래 걸기(아래에서 본 모습). ![]() 지붕 위에서 본 내부 오량 단연 서까래 걸기. ![]() 종도리에 단연 서까래(사각) 걸기_덧서까래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 팔작 합각 박공판에 목기연 걸기. ![]() 지붕 선과 물매를 잡기 위한 덧서까래 걸기. ![]() 건식 개량형 한식 기와를 얹기 위한 방수 합판 깔기. ![]() 한옥 목구조 뼈대 지붕 공사 완료_방수 시트 덮기. ![]() 기와 걸이 상을 걸고 개량형 한식 기와 시공. ![]() 용마루, 내림 마루에 쓰일 흙 작업. ![]() 착고, 도둠, 마루, 망와로 이뤄진 내림 마루. ![]() 기와의 질감과 수명 연장을 위한 도색. 벽체에서 미장 공사까지 ![]() 황토벽 보호를 위한 창틀 하단 방수벽 치장 벽돌 쌓기. ![]() 치장 벽돌 내부 열 반사 단열재를 넣고 폭 20㎝ 황토벽돌 쌓기. ![]() 방수벽(치장 벽돌) 위 상단에 폭 20㎝ 황토벽돌 쌓기. ![]() 내부 열 반사 단열재 넣고 폭 10㎝ 작은 황토벽돌 쌓기. ![]() 콘크리트 기초 면을 치장 벽돌로 마감. ![]() 외벽체 마감_다용도실 증축 벽체 작업. ![]() 공간 구분 칸막이벽 황토벽돌 쌓기_폭 15㎝ 세워서 쌓기. ![]() 황토벽돌 쌓기 공사를 마친 내부 모습. ![]() 내부 오량천장 단골(당골)막이 공사. ![]() 치장 벽돌, 황토벽돌 줄눈 넣기. ![]() 방과 주방의 평천장 트러스 상 걸기. ![]() 목재 상 아래 열 반사 단열재 시공. ![]() 단열재 아래 석고보드 시공. ![]() 석고보드 아래 황토 보드 시공. ![]() 황토 보드 마감 천장_천장 몰딩 시공. ![]() 주방 천장은 석고보드 아래 삼목 루버로 마감. ![]() 외부 새시 프레임과 황토벽 이음매 시더(삼나무) 몰딩 작업. ![]() 황토 미장 전_천장, 창틀, 문틀, 몰딩 등 천연 스테인, 래커 도장. ![]() 기둥, 도리, 보, 서까래 처마 오일스테인 도장. ![]() 내벽 황토 미장. ![]() 바닥_스티로폼 단열재 위 배관 작업을 위한 와이어 메쉬Mesh 고정. ![]() 엑셀 난방 배관. ![]() 배관 위에 콩자갈 깔고 황토 미장_황토 모르타르 섞기. ![]() 초벌 미장 위에 재벌 황토 미장. ![]() 지붕 합각에 회벽 미장. 마감 공정 및 구들, 마루 공사 ![]() 벽체, 줄눈, 미장 공사. ![]() 화장실_타일 시공. ![]() 현관_ 화강석 계단 공사. ![]() 토방_화강석 경계석 및 판재 시공. ![]() 거실_하단 부분 편백 루버 작업. ![]() 방문 시공을 위한 경첩 달기. ![]() 목창 샌딩_변형을 막기 위해 래커 도장. ![]() 불발기창 설치. ![]() 한지 벽지 시공. ![]() 거실_온돌마루(우물(井)마루) 시공. ![]() 우물마루가 깔린 모습. ] ![]() 옛날 대문 장식 달기. ![]() 구들방 고래 작업_화산석 구들장 위에 황토벽돌+난방 배관+황토 미장. ![]() 굴뚝 쌓기. ![]() 툇마루(누마루) 위 반자 천장 시공. ![]() 툇마루에 우물마루 시공. ![]() 계자 난간이 있는 누마루. ![]() ![]() < Country Home News > |
|
-
건강성 주거, 신한옥에 길을 묻다_한국전통가옥연구소 윤원태 소장
건강성 주거, 신한옥에 길을 묻다 한국전통가옥연구소 윤원태 소장전통 한옥의 장점에다 현대주택의 편리성을 접목한 건강성 주거 신新한옥. 그러나 신한옥을 대중적으로 보급하기엔 걸림돌이 너무 많다. 본지는 신한
2013-07-01 -
한옥으로 활짝 여는 참살이 세상, 전남도 행복마을
한옥으로 활짝 여는 참살이 세상, 전남도 행복마을농촌 인구 유입, 주거 환경 개선, 소득 창출…고령화 인구 급증과 생산 인구 급감, 열악한 경제 여건, 취약한 주거 환경… 우리나라 농촌 지역의 공통적인 고민거리
2013-07-01 -
강진, 월남 한옥 전원마을_남도 문화 본가本家 브랜드로 변신 중
강진, 월남 한옥 전원마을남도 문화 본가本家 브랜드로 변신 중마치 한 폭의 동양화를 보는 듯도 하고, 타임머신을 타고 조선시대 양반 마을에 도착한 듯도 하다. 세찬 빗줄기가 그치자 월출산국립공원을 배경 삼아
2013-07-01 -
신록의 계절, 전통 한옥에 취하다_보성 한옥 펜션 청록당
신록의 계절, 전통 한옥에 취하다_보성 한옥 펜션 청록당화개산을 배경으로 득량만을 바라보는 보성 삼정 한옥마을에 들어선 한옥 펜션 ‘청록당’. 이름 그대로 수백 년 수령의 소나무 숲과 차밭으로 둘러싸인 한옥
2013-07-01 -
사진으로 보는 현대 한옥 시공 과정 강화 125.4㎡(38.0평) 단층 목구조 한옥
ㄱ자형 중앙에 대청 격인 거실을 두고 우측에 현관과 화장실·구들방을, 좌측에 누마루와 드레스룸·화장실이 딸린 안방 그리고 주방/식당으로 공간을 배치한 구조이다. ㄱ자형 전통 한옥 살림집은 대개 대청을 중심
2013-06-13
-
[평창 황토집(흙집)]건강 위해 전원 갔다 눌러 앉은 평창 숲누림 흙집
건강 위해 전원 갔다 눌러 앉은 평창 숲누림 흙집온몸에 퍼지던 암이 산속에 살면서 증식을 멈췄다. 몸에 활력이 깃들고 생기로 넘쳤다. 따듯한 햇빛과 맑은 공기, 깨끗한 물이 최고의 치료제였다. 이곳에서 건
2021-01-25 -
[속초 한옥] 편안한 땅 편안한 집 속초 석현재
편안한 땅 편안한 집속초 석현재오세민·구미경 건축주 부부는 좋은 마을에 친환경적인 주택을 짓고 몸과 마음이 건강하게 살기를 바랐다. 여러 곳을 돌아다닌 끝에 강원도 속초에 마음이 편안해지는 땅을 발견
2020-08-19 -
[횡성 한옥] 아픔 딛고 한옥 짓고 2막 시작, 횡성 안흥산경
아픔 딛고 한옥 짓고 2막 시작 횡성 안흥산경 건축주는 건강을 이유로 조금 일찍 교직에서 은퇴했다. 몸도 마음도 편안히 쉬면서 인생2막을 준비하기 위해 전국을 돌아다녔다. 그러던 중 강원도 횡성군 안
2019-10-24 -
['19년 2월호 특집 3-1] 한옥 고유 구법과 비례 존중한 은평구 신한옥 ‘청인당’
한옥 고유 구법과 비례 존중한 은평구 신한옥 ‘청인당’현대인의 생활에 맞게 개발된 신한옥이라도 기본 외형은 한옥이란 느낌이 들어야 한다. 골격은 사개맞춤 방식이어야 하고 벽은 흙이나 황토벽
2019-02-25 -
[김제 황토주택] 황토집에서 즐기는 힐링 김제 치유당治癒堂
황토집에서 즐기는 힐링김제 치유당治癒堂건축주는 참한 마을에 친환경적인 주택을 짓고 좋은 이웃과 더불어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편안하게 살기를 바랐다. 현재 김제에 직접 마을을 조성하고, 주택을 앉힘으로써 그
2018-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