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정원이 아름다운 집] 은은한 멋과 향을 간직한 일곱 동산 | |
2016-07-01 | |
![]() 은은한 멋과 향을 간직한 일곱 동산 우리는 흔히 세상과 조금은 떨어져 사는 이를 자연인이라 부른다. 그들은 세상 사람들이 깨닫지 못한 가치를 자연에서 찾았기에 그곳에 머문다. 경기도 여주시에 정착한 한 자연인도 꽃 내음 가득한 숲이 좋아 자연과 함께 살고 있다. 글과 사진 김경한 취재협조 여주 주택 건축주 GARDENING NOTE 위치경기도 여주시 흥천면 디자인 콘셉트자연과 조화를 이룬 정원 주 포인트정갈함, 식상함 방지, 지피식물 통한 일손 절약 공간 구성소나무 정원, 수련 연못, 아리 가든, 장미 정원, 연꽃 연못, 분재 정원, 고산수 등 식물 속성에 따라 각기 다른 정원을 조성함 식재소나무, 편백나무, 수련, 패랭이, 무늬 억새, 해송, 회양목, 단풍나무, 해당화,무늬 실유카, 장미, 연꽃 ![]() ![]() ![]() ![]() ![]() 정원 조성의 숨은 조력자 건축주는 어릴 때부터 꽃 가꾸는 걸 좋아했다. 아예 동양란 동호회를 찾아다닐 정도였다. 퇴근하면 아파트 베란다에 화분을 놓고 식물을 키웠다. 그는 직장을 은퇴할 시기가 되자 시골로 내려가 정원을 가꾸며 살기로 결심했다. 처음 시골에 집을 지었을 때는 시공사를 잘못 만나 고생했다. 난방과 단열 어느 것 하나 제대로 된 것이 없었다. 더군다나 지붕도 부실하고 습기 문제도 있었다. 다시 한 번 집을 지으며 하우스메이커의 최장만 팀장을 만났다. 그에게 시공을 맡기기 전에는 이 시공사에서 지은 집을 먼저 찾아봤다. 시공을 의뢰했던 이들의 얘기를 들어보니 최 팀장에 대한 평가가 좋았다. 자재업체 관계자도 그가 전국에서 손에 꼽을 정도의 규격자재 사용자라고 했다. 이번엔 제대로 된 집을 지을 수 있겠다는 생각에 그에게 시공을 맡겼다. 친환경적으로 집을 짓는 점도 건축주의 성향과 잘 맞았다. 무엇보다도 완성된 집이 건축주의 마음에 쏙 들었다. 집 문제가 해결됐으니 이제 정원을 본격적으로 조성할 차례였다. 혼자서 어떻게 정원을 만들지를 고민할 때 최장만 팀장이 많은 도움을 줬다. 그는 옹벽을 치거나 석축을 쌓기보다는 자연 그대로 경사면을 살려 정원을 조성하는 게 좋겠다고 조언했다. 건축주는 ‘바로 그거다’ 싶었다. 인공적인 걸 깃들이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짓고 싶어 하던 건축주의 마음에 딱 들어맞았기 때문이다. 최장만 팀장의 조언대로 자연의 멋을 살리며 정원을 조성했다. “혼자 생각하는 건 한계가 있잖아요. 아무리 동호회를 오래 하고 화분을 키워왔어도 객관적으로 바라봐줄 제삼자가 필요했던 거죠. 제가 큰 줄기를 세우지만 미처 보지 못한 부분들은 최장만 팀장이 지적해줬어요. 그렇게 수차례 수정을 거치며 이처럼 멋진 정원을 조성할 수 있었지요.” ![]() ![]() ![]() 자연의 일부가 된 정원 건축주는 최장만 팀장에게 조언을 들으며 7년간 정원을 완성해갔다. 소나무 정원, 수련 연못, 아리 가든, 장미 정원, 연꽃 연못, 분재 정원, 고산수 등 일곱 개의 개성 넘치는 정원을 조성했다. 정원이 일곱 개나 되지만 이 모든 정원을 다 둘러봐도 눈이 피곤하거나 몸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이 정원들은 큰길에서 집으로 향하는 오솔길부터 시작하는데 하나의 정원을 구경하다 보면 어느새 다음 정원으로 이어진다. 이는 건축주의 눈에 보이지 않는 세심한 식재 관리 때문이다. 건축주가 조성한 정원들은 주택의 왼편 산에서 시작해 오른편 언덕 아래로 이어진다. 자연경관을 해치고 싶지 않았던 건축주는 산 옆의 소나무 정원과 수련 연못을 거의 초록에 가까운 식재만 심었다. 그 다음으로 이어지는 아리 가든은 영국식 정원에서 모티브를 얻었으며, 무늬 억새, 무늬 실유카, 패랭이, 바하브향나무 등 은은한 색상의 꽃과 잎을 간직한 식재를 배치했다. 언덕 경사면에 위치한 장미정원은 이 정원에서 가장 강렬한 색상을 지닌 각종 장미꽃과 산수국 등을 심었다. 장미 정원 너머에는 연녹색 잎이 가득한 연꽃 연못을 둬 초록 들판과 어우러지게 했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서서히 강렬해지는 색의 배치는 이곳만의 백미로 꼽을 만하다. 건축주는 주택 주변에 휴식을 취하고 삶의 여유를 찾기 위한 쉼터를 많이 마련했다. 돌로 꾸민 정원으로 유명한 일본의 료안지를 닮은 고산수도 그런 쉼터 중 하나다. 돌과 흙, 관목으로 은근한 멋을 자아내 사색이나 명상을 하기에 좋다. 피톤치드를 많이 발산하는 편백으로 사방을 두른 데크도 조성했다. 이 데크는 샛길로 살짝 빠져나오는 곳에 있어 외지인들이 발견하기는 쉽지 않은 장소다. 그래서 가족들이 과일을 먹거나 피톤치드로 삼림욕도 하는 가족만의 비밀 쉼터다. 그 외에 오솔길 옆에는 산세를 작은 돌들로 형상화한 입석 숲도 있으며, 조금 주택에서 벗어난 곳에 넓은 공터를 마련해 지인들과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는 장소를 마련했다. ![]() ![]() ![]() 식재 공부도 빼놓지 않는 열정 건축주는 “이토록 정원을 풍성하게 가꿀 수 있는 비결이 식물의 특성을 잘 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어느 식물이 어느 정도 높이까지 자라고 어떤 색의 꽃을 피우며 개화 시기가 언제인지도 알아야 자신도 만족하고 타인이 보기에도 좋은 정원을 가꿀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더해 정원을 조성할 때는 꽃이 피고 지는 것만 생각하지 말고 풀들의 특성이나 모양도 세심하게 알아둬야 한다고 전했다. 예를 들면, 지피식물은 꽃들 사이에 공백을 없애 정원에 생기를 불어넣어 줄 뿐만 아니라,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무늬 억새나 속쇠 같은 다년생 식물은 겨울철에도 줄기가 살아남아 정원을 쓸쓸하지 않게 한다. 건축주는 이런 지피식물과 다년생 식물의 특성을 살려 정원의 풍성함을 더했다. 야생 해당화를 가장 좋아한다는 건축주는 “정원을 가꿀 때 큰돈 들일 생각부터 하면 안 된다”고 설명했다. 무턱대고 남들이 많이 심는 식재만 잔뜩 사다 심으면 관리하기도 힘들 뿐만 아니라, 희소성이라는 관상 가치도 떨어진다. 결국, 정원 조성에 앞서 식물에 대한 공부가 필수인 셈이다. 건축주는 앞으로 자연 속에 넘쳐나지만 흔히 쓰지 않는 식재를 발굴해 정원을 가꾸겠다고 말했다. 자연을 한 아름 안고서 정원을 풍성하게 가꿀 그의 모습을 떠올리니 벌써 흐뭇한 미소가 떠올랐다. ![]() ![]() 문의 하우스메이커 T 010-3241-4631
![]() ![]() < Country Home News > |
|
-
[GARDEN RECIPE] 10개 정원에 10명 스타의 색깔을 입히다!
한류 스타들의 자취를 만날 수 있는 정원이 월드컵공원에 만들어졌다. 지난 10월 3일부터 12일까지 열렸던 ‘서울정원박람회’에 초대 작가로 참여한 정원 디자이너 임춘화 대표의 작품. 스타일과 분위기가 다른 여
2015-11-01 -
[GARDEN RECIPE] 내 집에 맞는 정원 만들기 04
자연과 마주하고마음을 치유하는공간으로 변신하다!‘진심 어린 미소를 건네고 싶다면 꽃 한 송이를 건네라’는 말이 있다.사람은 꽃을 볼 때 가장 자연스러운 미소를 짓는다고 한다.도저히 인위적으로 지
2015-10-01 -
[GARDEN RECIPE] 내 집에 맞는 정원 만들기 03
세종시 푸르지오 아파트 정원입주민이 행복한 정원 만들기GARDENING NOTE위치세종시 범지기마을 푸르지오 아파트 단지 내면적524㎡(158.79평), 400㎡(121.21평)스타일클래식 포멀 가든,모던 코티지 가든디자인아이디
2015-09-01 -
[GARDEN RECIPE] 내 집에 맞는 정원 만들기 02
정원은 건축물에 부속해 건물의 배경을 꾸며주는 이차적 기능에 머물지 않는다. 조경造景이란 말을 그대로 풀면 ‘그 자체로서의 경치를 만들어내는 것’이어야 하지만, 많은 이들이 ‘경景’을 건물建物과 동의어로
2015-08-01 -
[GARDEN RECIPE] 내 집에 맞는 정원 만들기 01
정원주는 전원주택을 지은 직후에는 초록의 잔디가 있는 마당만으로도 정원에서 얻는 즐거움을 충분히 즐길 수 있다고 여겼지만, 세 번의 봄을 넘기면서 정원에서 새로운 변화나 즐거움을 찾을 수 없었다고 했다. 이
2015-07-01
-
『2024년 01월』 CONTENTS JANUARY 2024 Vol.298
SPECIAL FEATURE예비 건축주를 위한 직영건축 가이드건축주가 업체 또는 시공 전문가를 직접 고용해 비용을 지불하고 집을 짓는 방식을 직영건축이라고 한다. 따라서 건축주는 공사현장을 직접 관리·감독하는
2024-01-01 -
【2023년 12월】CONTENTS December 2023 Vol.297
SPECIAL FEATURE2023 대한민국 목조건축대전 수상작(사)한국목조건축협회가 주관하고 산림청이 주최하며 국토교통부와 서울특별시가 후원하는‘2023 대한민국목조건축대전’에서 11개 준공 작품과 12개의
2023-12-01 -
【2023년 11월】CONTENTS NOVEMber 2023 Vol.296
SPECIAL FEATURE장점 살리고 단점 극복한 ALC 주택 짓기지난 2016년 포항·경주 지진 이후 조적조인 ALC 주택이 지진에 취약하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널리 퍼졌다. 최근에는‘순살 아파트’논란, 시멘
2023-11-01 -
【2023년 10월】CONTENTS October 2023 Vol.295
SPECIAL FEATURE건축주가 알아야 할 친환경 단열재단열재 종류가 무수히 많아 어떤 제품을 써야 할지 예비 건축주들이 결정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탄소중림 시대로 가는 요즘이기에 그 고민 이 더욱 깊어지리
2023-10-01 -
【2023년 09월】CONTENTS September 2023 Vol.294
SPECIAL FEATURE전원형 거주시설, 활기 띠는 수익형 주택 시장펜데믹 이후 국내 여행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여행객들의 눈길을 사로 잡을만한 숙박시설을 선보이는 업체들도 늘어나고 이런 수요 증가에 고무 돼 새
2023-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