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ECTURE DESIGN】 자연과 통하고 사람과 소통하는 30평 열린 내 집 | |
2022-01-04 | |
![]() 자연과 통하고 사람과 소통하는 30평 열린 내 집 내 집을 짓는 건 내면을 들여다보는 과정이다 보니 외부에서 집 짓는 이유를 찾으려 하면 어색하거나 불편한 집을 지을 수 있다. 글 양인성 소장 자료제공 아틀리에 로우크리에이터스 HOUSE PLAN 건축면적 67.43㎡(20.39평) 연면적 100.86㎡(30.51평) 최고높이 7.22m(가중평균지표 기준) 공법 경량 목구조 지붕재 아스팔트 슁글 외벽재 아스팔트 사이딩 창호재 72㎜ 알루미늄 3중창호 내벽재 백색 도장 바닥재 강마루, 모자이크 타일 수전 등 욕실기기 아메리칸 스탠다드 현관문 단열 강화도어 가구 현장 제작 설계 atelier LOW CREATORs 설계자 양인성 ![]() PLANNING 침실 1개 화장실 1개 규모 지상 2층 ![]() #이야기 언제부터인지 집을 대상화하고 방이 몇 개고 화장실이 몇 개인지가 중요해졌다. 규모와 경제적 가치를 우선하게 되고, 거주보다 소유 개념으로써의 집으로 바라보게 됐다. 기성화 되어버린 집은 개성을 사라지고 그 안에서 모두 같은 모습으로 살아가게 했다. 똑같은 모습과 똑같은 방식, 똑같은 가치관으로 집을 소유하려고 했던 것일까? 우리는 왜 집을 소유하려 하고 무엇을 원하는 것인가? 집은 쉼의 장소다. 내가 살고 싶은 모습을 형상화한 대상이다. 이제 집을 바라보는 시선을 조금씩 바꿔보자. ![]() ![]() ![]() #공간구성 어느 날 문득 집을 짓고자 하는 생각이 떠올랐다면, 무엇부터 해야 할까. 가장 접근이 쉬운 방법은 인터넷과 책을 통해 정보를 모으는 것이다. 하지만, 집은 내밀함과 동시에 모든 욕망의 집합체이기도 해서 ‘어떤 집을 지을까 보다 내가 어떠한 삶을 원하는지’ 내면을 살펴보고 나만의 삶을 그려보는 게 우선이다. ‘열린 내 집’은 자연과 가까운 삶, 사람들과 편안하게 어울리기 좋아하고 야외활동을 즐기는 가상의 건축주를 상상하며 스케치했다. 건물은 삼각형 기단부 위에 단순한 형태로 사각형 형태의 2층 집을 올렸다. 언제나 집을 계획하면서 염두에 두는 것 중 하나는 이야기를 담은 공간 구분과 연결인데, 이 주택은 사랑방과 데크가 그것이다. 사랑방은 지인과 어울리기 좋아하는 성향에 맞춰 손님을 맞이하고 쉬어 갈 수 있게 1층에 마련했다. 데크는 사랑방 앞에 배치해 사람들과 만나고 소통하며 어울리는 공간이다. 사람들은 휴식과 보호 등을 이유로 집을 짓지만, 사람과 사람이 만나고 도시와 사람을 연결하는 사회관계 형성에 더 큰 의미가 있다. 이러한 관계 설정 없이 단절되고 닫힌 공간은 감옥과 다름없어 설계할 때 늘 어떻게 집을 열어둘지 고민한다. 필로티 형태의 데크가 그러한 관계 형성 의미를 담은 공간이다 ![]() ![]() 2층은 유기적 형태의 열린 공간이다. 자연스럽게 동선을 연결하는 원형 계단을 오르면 2층에 도달하는데, 2층은 미닫이문만이 방을 구획할 뿐 다른 부분은 모두 열린 구조다. 열린 공간에 제약은 없다. 내 생각과 정의에 따라 거실이나 식당이 된다. 이 집의 또 다른 특징은 성장 가능성을 가진 것이다. 가족계획 변화로 내부 구조 변경이 필요한 부분을 염두에 두고 변경이나 확장이 쉬운 목구조로 구성했다. 확장은 2층 상부에 기둥을 덧대 한 층 올리면, 필요한 실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내가 원하는 곳에 내가 좋아하는 가구를 두고 휴식을 취한다.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과 만나 담소를 나누고, 내가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시간을 보낸다. 집이란 그런 곳이다. 내 집을 짓는 일은 그렇게 나와 만나고 작은 것 하나에도 의미를 두는 일이다. 내 집을 짓는 일의 시작은 이렇게 나에게 의미 있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는 시간에서부터 시작한다. ![]() ![]() 사연을 보내주세요. 집 짓는 과정은 건축주와 건축가가 함께 만드는 느린 여행입니다. 집에 대한 생각(규모, 위치, 방 개수, 기능)과 바라는 삶의 모습을 간략하게 적어 보내주세요. 사연을 토대로 로우크리에이터스가 생각하는 집을 전원주택라이프 지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LOW CREATORs로 문의하세요. 사연 신청 설문 형식 https://url.kr/jide16 메일 lowcreators@gmail.com ![]() 양인성(아틀리에 로우크리에이터스 atelier LOW CREATORs 대표) 단독주택, 아파트 인테리어 등 주거환경을 중심으로 건축설계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다양한 클라이언트 요구사항을 조율하면서 함께 공간을 그려나가는 것을 좋아한다. 집을 짓고 사는 모습에 관심이 많아 오랜 시간을 두고 예비 건축주와 인터뷰를 진행하고, 편안한 집을 위한 건축문화 확산에 노력하고 있다. 070-8833-3162 lowcreators@gmail.com
www.lowcreators.com ![]() ![]() < Country Home News > |
|
-
【TINY HOUSE DESIGN】 덜어내고 잘라낸 쉬어가는 28평 집
덜어내고 잘라낸 쉬어가는 28평 집현대인은 보편화하고 편의성만 강조한 아파트 공간에 자기의 삶을 맞추고 산다. 기성화 되어버린 주거 공간은 개성을 살려주지 못해 삶이 지루해지기도 한다. 이번 호 설계 키워드는
2022-01-04 -
【ARCHITECTURE DESIGN】 수영장 설치한 다기능 61평형 전원주택
수영장 설치한 다기능 61평형 전원주택코로나 이후 집에서 지내는 시간이 부쩍 늘었다. 이 주택은 수영장과 넓은 실내 공간을 확보해 집 안에서 다양한 여가활동을 보낼 수 있게 설계했다.구성백홍기 기자자료제공㈜
2022-01-04 -
【ARCHITECTURE DESIGN】 여유를 찾아주는 집 26평 쉬엄재
여유를 찾아주는 집26평 쉬엄재바쁜 일과를 마치고 몸과 마음을 무장해제하고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곳이 집이다. 이 집은 휴식처를 찾는 현대인을 생각하며 편안한 공간을 상상해 본 것이다.글양인성 소장자료제공 아
2021-12-09 -
【ARCHITECTURE DESIGN】 직선의 멋을 담아낸 46평형 심플하우스
직선의 멋을 담아낸46평형 심플하우스이 주택은 선의 미학을 보여준다. 별다른 기교 없이 단순한 선만 이용해 심플하면서 세련된 멋을 냈다. 실내는 시원스러운 공간감과 사적 공간을 강화한 부분이 특징이다.자료제
2021-12-09 -
【TINY HOUSE DESIGN】 실내외 공간 유연하게 연결한 커브가 있는 집
실내외 공간 유연하게연결한 커브가 있는 집사람들은 흔히 자신만의 공간을 꿈꾼다. 누구나 집을 불편한 공간으로 두고 싶은 사람은 없고, 온전히 나를 들여다보고 몸을 누일 수 있는 아늑한 거처를 바라는 게 보통이
2021-12-09
-
『2024년 01월』 CONTENTS JANUARY 2024 Vol.298
SPECIAL FEATURE예비 건축주를 위한 직영건축 가이드건축주가 업체 또는 시공 전문가를 직접 고용해 비용을 지불하고 집을 짓는 방식을 직영건축이라고 한다. 따라서 건축주는 공사현장을 직접 관리·감독하는
2024-01-01 -
【2023년 12월】CONTENTS December 2023 Vol.297
SPECIAL FEATURE2023 대한민국 목조건축대전 수상작(사)한국목조건축협회가 주관하고 산림청이 주최하며 국토교통부와 서울특별시가 후원하는‘2023 대한민국목조건축대전’에서 11개 준공 작품과 12개의
2023-12-01 -
【2023년 11월】CONTENTS NOVEMber 2023 Vol.296
SPECIAL FEATURE장점 살리고 단점 극복한 ALC 주택 짓기지난 2016년 포항·경주 지진 이후 조적조인 ALC 주택이 지진에 취약하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널리 퍼졌다. 최근에는‘순살 아파트’논란, 시멘
2023-11-01 -
【2023년 10월】CONTENTS October 2023 Vol.295
SPECIAL FEATURE건축주가 알아야 할 친환경 단열재단열재 종류가 무수히 많아 어떤 제품을 써야 할지 예비 건축주들이 결정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탄소중림 시대로 가는 요즘이기에 그 고민 이 더욱 깊어지리
2023-10-01 -
【2023년 09월】CONTENTS September 2023 Vol.294
SPECIAL FEATURE전원형 거주시설, 활기 띠는 수익형 주택 시장펜데믹 이후 국내 여행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여행객들의 눈길을 사로 잡을만한 숙박시설을 선보이는 업체들도 늘어나고 이런 수요 증가에 고무 돼 새
2023-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