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등록 RSS 2.0
장바구니 주문내역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home
기사 분류 > 전원주택 > 황토
[Cover Story] 자연과 건강한 주택의 멋진 하모니 광양 264.0㎡(80.0평), 복층 목구조 황토집
2011년 10월 7일 (금) 12:18:16 |   지면 발행 ( 2011년 9월호 - 전체 보기 )



먼저 엄청난 규모에 놀라게 되는 황토집이다. 입구에서 쉽사리 감을 잡을 수 없는 부지 규모는 대문을 들어서면서 입이 벌어지게 만든다. 그러나 이게 다가 아니다. 단을 낮춰 조성한 관리동 면적 또한 상당해 이 둘을 전부 합치면 자그마치 11만 550.0㎡(3500.0평)에 달한다. 주택 위엄도 상당하다.
264.0㎡(80.0평)라는 크기도 그렇지만 백운산을 마주하고 마을이 눈앞으로 펼쳐지는 전경은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얼마나 많은 공을 들인 주택인지 가늠이 쉽지 않다. 부지면적 11만 550.0㎡(3500.0평), 건축면적 264.0㎡(80.0평)다. 엄청난 돈을 들이면 그리 어렵지 않을 수도 있겠으나 광양 주택은 건축주가 3년에 걸쳐 부지를 조성했다.
건축 박람회에서 게르마늄 황토집 최을용 지사장을 만나 건축을 의뢰하고는 한동안 잠잠했던 건축주였다. 그로부터 일 년 후 최 지사장을 찾아 "집을 지으려면 땅을 봐야 하지 않겠느냐"며 현재의 부지로 그를 안내했다. 최 대표는 "그냥 산이었어요. 한참을 숲속을 헤치더니 '여기다 지을 겁니다'하는데 사실 반신반의 했었지요"라며 당시를 회상했다. 이 넓은 땅을 다지는 데에만 엄청난 돈이 필요할 것인데 과연 가능할까 하고 생각했던 것이다.

건축정보
· 위 치 : 전남 광양시 옥룡면 추산리
· 부지면적 : 11만 550.0㎡(3500.0평)
· 건축면적 : 264.0㎡(80.0평)
· 건축형태 : 복층 목구조 황토집
· 외 벽 재 : 점토벽돌
· 내 벽 재 : 게르마늄 황토벽돌+한지
· 지 붕 재 : 점토 기와(프랑스 모니어)
· 바 닥 재 : 강화마루(벨기에 퀵스텝), 게르마늄 황토
· 식수공급 : 지하수
· 난방형태 : 구들, 기름 보일러, 심야전기, 벽난로
· 설계참여 : 아키랜드 강현룡 건축사
· 시 공 : 게르마늄 황토집 010-3830-8500 / 051-582-3544(부산) 031-798-3544(광주

"그 일이 있은 지 3년 후 다시 찾아왔어요. '준비됐으니 집을 지어달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다시 가봤더니 깜짝 놀랐어요."숲이 우거졌던 곳이 말끔히 정리돼 있었고 주택이 올라갈 곳을 제외하고 어느 정도 정원도 마련돼 있었다고 한다.
건축주는 3년 동안 땅을 가꿨다. 중장비가 필요한 일은 어쩔 수 없이 사람을 부려 해결했지만 정원과 같이 자신의 손이 필요한 곳은 직접 진행했다. 업체에 맡기지 않고 마음에 드는 나무를 고르고 정원 용품을 고르고 연못을 조성하고 잔디를 까는 데 긴 시간이 걸렸던 것이다.

부지 규모에 놀라고 주택 규모에 또 놀라
옥룡면 추산리는 전라남도에서 지리산 노고단 다음으로 높은 백운산(해발 1218m)이 주위를 감싸 경관이 수려한 곳이다. 특히 주택이 들어선 곳은 마을이 한눈에 내려다보여 전원주택 명당으로 일찌감치 소문이 자자했다. 이러한 곳에 11550.0㎡(3500.0평) 땅을 구입하기가 여간 부담스럽지 않았지만 건축주가 이를 마다하지 않은 이유는 평생 살 생각을 했기 때문이다.

목조주택으로 지을까도 고민했다가 황토집으로 결정한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조금 더 건강한 집에서 살고 싶었고 그래서 이왕이면 게르마늄이 함유돼 기능성과 건강성이 뛰어난 재료를 쓰는 게르마늄 황토집에 시공을 맡기기로 했다.
백운산을 정면에 둔 주택은 드러난 규모가 말해주듯 멀리서도 풍채가 대단하다. 무게감이 전해지는 레드 조약돌로 외벽을 마감하고 기와로지붕을 덮은 까닭에 풍채는 더욱 살아났다. 대문에서 한참을 걸어야 주택이다. 해가 드는 곳으로 좌향을 잡고 돌출한 거실은 외형미를 살리는 한편 전면에 큰 창을 놓아 채광과 단열에 신경 쓴 모습이다.
부지는 주택이 들어선 상부와 관리동이 놓인 하부로 나뉜다. 계단을 만들어 두 부지를 연결했으며 각각 연못을 조성하고 여러 정원수와 용품을 놓아 풍성하면서 화려한 정원이 탄생했다. 크고 낮은 소나무가 곳곳에 자리하고 주택 정원에는 백운산에서 내려오는 물을 이용해 작은 인공 폭포를 만들기도 했다. 그리고 주택 너머 낮은 언덕을 내려가면 역시 넓게 조성한 텃밭이 자리한다.

깔끔하고 불편하지 않은 황토집
외부에서 느낀 규모감 내부에서도 전해진다. 각 실을 크게 놓아 어디에서도 좁은 느낌이 들지않고 창역시 시원시원하게 설치해 개방감도 좋다.

거실, 안방, 주방/식당, 욕실 등으로 1층을 구성하고 넉넉한 규모를 자랑하듯 2층에도 큰 거실과 방, 간이 식당 등을 놓아 생활의 편의를 도왔다. 내부에서 보이는 특징은 1층과 2층 거실이다. 같은 크기, 다각형의 같은 모양으로 돌출한 두 거실은 규모도 규모거니와 편안하고 절제된 인테리어가 특징이다. 황토집답게 튀지 않으면서 고풍스러운 분위기가 일품으로 한지로 내벽을 마감한 덕이 컸다.
주방/식당과 욕실은 현대인의 생활에 맞게 편리하게 마련했다. 깔끔한 이미지를 내도록 타일을 마감재로 쓰고 최신 주방 가전과 욕실 자재를 사용함으로써 생활에 불편함이 없도록 한 것이다.

*

친환경적이고 건강에 좋은 황토집의 변신이 눈부시다. 광양 주택에서 보듯 투박하고 불편하고 촌스럽다는 것은 이제 다 지난 말이다. 어떤 자재를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현대 건축 공법으로 지은 주택 못지않은 편리함과 내구성을 지니게 됐다. 시공을 맡은 게르마늄 황토집 최을용 지사장은 "자재와 공법의 발달로 모던한 스타일의 황토집이 대세를 이루고 있어요. 이전에는 나이 지긋한 사람이 주로 찾았지만 이곳 광양 주택 건축주도 그렇고 점점 연령대가 낮아지고 있지요. 불편하지 않은 황토집을 짓기 위해서는 어떤 자재로 어떻게 시공하느냐가 중요합니다"라고 말했다.

글 · 사진 홍정기 기자

<Country Home News>

인쇄하기   트윗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네이버 구글
태그 : Cover Story80평대
이전 페이지
분류: 황토
2011년 9월호
[황토 분류 내의 이전기사]
(2011-08-05)  [고택을 찾아서] 수몰 지역 문화재를 이전 복원한 제천 청풍문화재 단지 내 한옥
(2011-08-05)  [건강한 집] 건강한 집과 인연 맺다, 강화 117.7㎡(35.6평) 복층 목구조 황토집
(2011-08-05)  [COVER STORY] 경량 목조 벽체 도입해 한옥 단점 극복한 양양 198.0㎡(60.0평) 복층 목구조 황토집
(2011-07-14)  [고택을 찾아서] 후손들의 애착이 대단한 군포 동래 정씨 종택 東來鄭派宗宅
(2011-06-10)  [고택을 찾아서] 근검한 생활이 곳곳에 묻어나는 제천 박도수 가옥 朴道秀 家屋
[관련기사]
오랜 준비 끝에 생긴 가족만의 보금자리 화성 271.4㎡(82.1평) 삼층 철근콘크리트주택 (2013-07-30)
[Cover Story] 친환경 목조주택으로 자녀에게 건강 선물한 대전 279.3㎡(84.5평) 복층 경량 목조주택 (2013-02-26)
[COVER STORY] 건강과 절약, 두 마리 토끼를 잡은 남양주 108.4㎡(32.8평) 3리터 하우스 (2013-01-21)
[깔끔한 집] 신도시에서 편리하게 전원생활을 누리다, 화성 283.8㎡(85.8평) 삼층 철근콘크리트주택 (2012-12-27)
[Cover Story] 전원생활자의 화려한 외출 홍천 ‘까사모로Casa moro’펜션 (2012-12-26)
[Cover Story] 맑고 부드러운 햇살 머금은 연천 152.2㎡(46.0평) 복층 경량 목조주택 (2012-12-14)
[Cover Story] 화수류형 花樹類形명당에 지은 울산 201.3㎡(61.0평) 복층 경량 목조주택 (2012-11-07)
[Cover Story] 모던함과 세련미를 갖춘 오산 179.0㎡(54.1평) 복층 경량 목조주택 (2012-05-29)
[Cover story] 종갓집으로 손색이 없는 경주 189.9㎡(57.5평) 복층경량 목조주택 (2012-04-04)
목조주택이 좋아 두 번 짓다 - 양평 280.5㎡(85.0평) 복층 경량 목조주택 (2012-03-13)
전원주택 (5,630)
황토 (336)
목조/통나무 (997)
철근콘크리트 (484)
스틸하우스 외 (306)
건축정보 (1,654)
설계도면 (458)
동영상 (462)
전원주택단지 (120)
특집/기타 (813)
펜션/카페 (241)
전원생활 (908)
정원 (312)
월별목차 (40)
분류내 최근 많이 본 기사
한옥의 미와 기능성을 더한 ...
[수원 목조주택] 자연과 사...
[COVER STORY] 경량 목조 벽...
미와 기능성을 살린 퓨전 흙...
[은평구 한옥] 2019 대한민국...
창간 5주년 특집 | 손에 잡히...
아파트 처분하고 1천만원 들...
[삶을 담은 집] 핸드메이드 ...
"실제보다 넓어 보이는 25평...
[한옥, 현재를 담다] 한옥 ...
과월호 보기:
상호/대표자 : 전우문화사/노영선  |  사업자등록번호 : 105-41-60849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04-01800호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마포 라00108  |  주소 : 서울 마포구 성산로 124, 6층 (성산동,덕성빌딩)
TEL: 02-323-3162~5  |  FAX: 02-322-8386  |  이메일 : webmaster@countryhome.co.kr
입금계좌 : 기업은행 279-019787-04-018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윤홍로 (02-322-1201)

COPYRIGHT 2013 JEONWOO PUBLISHING Corp.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
회사소개  |  매체소개  |  사업제휴  |  정기구독센터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사업자정보확인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 전우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