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목조주택] 동화 속 집 같은 용인 주택 ‘감분헌’
2019-07-24
동화 속 집 같은용인 주택 ‘감분헌’가는 이의 발길을 머물게 하는 집이 있다.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 언덕 끄트머리에 자리한 생크림 케이크처럼 하얀 집. 송창섭·임영숙 부부가 어린 딸이 자연과...
[용인 목조주택] 가족 간 이웃 간 정이 모이는 용인 제담헌悌談軒
2019-07-24
가족 간 이웃 간 정이 모이는용인 제담헌悌談軒이웃 간 정을 나누며 즐거운 집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지은 김제담·김소규 부부의 주택. 모임 활동이 잦은 부부는 아파트에서 살 땐 밖에서 모임을 가져야 ...
[마산 목조주택] 친구 따라 편안하게 지은 마산 목조주택
2019-07-24
친구 따라 편안하게 지은마산 목조주택‘집 짓다가 10년 늙는다’는 말이 있다. 그만큼 신경을 많이 써야 한다는 것인데 말로만 들을 땐 실감을 못한다. 하지만 직접 집을 지어 본 건축주들은 이구동성으로...
[괴산 목조주택] 교수에서 농부의 삶으로 담백한 괴산 주택
2019-07-29
교수에서 농부의 삶으로담백한 괴산 주택100세 시대를 맞이한 현대인에게 은퇴는 끝이 아닌 새로운 출발점이 됐다. 식품공학과 교수였던 건축주도 5년 전 정년퇴직을 앞두고 고민에 빠졌다. 그는 도심의 편안하고 안...
[세종 목조주택] 따뜻하고 포근한 소통 공간, 세종시 주택 ‘서정가’
2019-07-29
따뜻하고 포근한 소통 공간세종시 주택 ‘서정가’세종시 아름동에 위치한 서정가書庭家는 소하건축에서 설계했던 옆집에 자리한 단독주택이다. 설계 초기에는 옆집과 어울리는 형태와 배치로 제안했지만 ...
철근콘크리트
[안성 철근콘크리트주택] 그들만의 삶이 녹아든 공간 안성 배꽃집
2019-07-29
그들만의 삶이 녹아든 공간안성 배꽃집홈시어터 마니아인 건축주의 이상에서 시작된 안성 배꽃집(Pyrus House). 전체 면적 중 홈시어터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하다. 설계 전략은 홈시어터 공간을 기존 대지 높이에 ...
[상도동 철근콘크리트주택] 땅 생김새 그대로 건축 상도동 협소주택 삼각집
2019-07-29
땅 생김새 그대로 건축상도동 협소주택 삼각집필지의 형상인 삼각형 모양을 그대로 건축으로 형태화했다. 좁은 협소주택으로 길과 연계된 상업적 공간과 상층부 거주공간의 건축적 구성이 중요한 포인트. 좁은 필지의...
[능동 철근콘크리트주택] 식당과 갤러리의 만남 능동 협소주택
2019-07-29
식당과 갤러리의 만남능동 협소주택어울릴 것 같지 않은 식당과 갤러리. 하나만 살리기도 어려운 협소한 공간에 소박한 공간 구성과 차분한 분위기로 두 개의 공간을 절묘하게 조합했다. 요리를 즐기는 황선미 씨와 ...
[은평 한옥] 새롭지만 그대로인 한옥, 서울 은평 ‘심락재’
2019-06-20
새롭지만 그대로인 한옥서울 은평 ‘심락재’심락재는 한옥이 가지는 내외부의 연속성을 온전히 유지하고 있다. 현대적 건축 기능들을 충분히 만족하면서도 내부에서 한식목구조를 선택적으로 표현했다. 이...
[용인 목조주택] 동화 속 집 같은 용인 주택 ‘감분헌’
2019-08-12
동화 속 집 같은용인 주택 ‘감분헌’가는 이의 발길을 머물게 하는 집이 있다.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 언덕 끄트머리에 자리한 생크림 케이크처럼 하얀 집. 송창섭·임영숙 부부가 어린 딸이 자연과...
[눈에 띄네] 자연 그대로의 원목에 빛을 씌우다! 천연 원목조명 엠아트라이팅
2019-07-29
자연 그대로의 원목에 빛을 씌우다!천연 원목조명 엠아트라이팅공간에 생명력을 불어 넣는 조명, 어떻게 하면 우리 집 인테리어가 특별해질까? 인테리어를 돋보이게 하되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조명 선택이 중요...
[공간 인테리어] 요리 열정을 업시키는 깔끔한 주방
2019-07-29
요리 열정을 업시키는깔끔한 주방인테리어하기 전에 원하는 라이프스타일과 콘셉트를 고민해 보는 게 먼저다. 이후 각 공간에 어떤 마감재를 사용할지 정한다. 마감재는 디테일하게 계획할수록 자신이 원하던 공간 인...
[HOME & GARDEN] 꽃, 잎, 열매가 특이한 작은 관목 박쥐나무
2019-07-29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자료제공김영사www.gimmyoung.com※본 원고는 경상대학교 명예교수인 정계준 박사(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교수)가 지은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의 일부분을 김...
['19년 7월호 특집 3] 마당을 더욱 알차고 재밌게 만드는 아이템
2019-07-24
마당을 더욱 알차고 재밌게 만드는 아이템전원주택을 떠올려보자. 마당에서 의자와 테이블을 놓고 친구들과 고기를 굽고 즐기는 모습이 자연스럽게 그려진다. 마당이 딸린 전원주택에 필요한 건 주택과 함께 풍...
['19년 7월호 특집 2] 일상에 윤기와 깊이를 더하는 공간 마당
2019-07-24
일상에 윤기와 깊이를 더하는 공간마당외부에서 보면 막혀 있지만 내부에서 보면 열려 있는 공간. 집 앞의 평평하고 너른 땅을 뜰 또는 마당이라 부른다. 과거 농업이 주가 되던 시대에 기능 위주의 공간으로 사용했...
['19년 7월호 특집 1] 전원주택의 멋과 여유 & 실내외 연결 통로 데크
2019-07-24
전원주택의 멋과 여유 & 실내외 연결 통로데크전원주택의 여유를 즐기는 공간이자, 가족 간 놀이 및 체험 등이 이뤄지는 공간인 데크. 대부분 목재로 설치되는 데크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부패하거나 파손되기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