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등록 RSS 2.0
장바구니 주문내역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home
게시판 > 자유게시판
글번호 1971 (6905) 작성자 박창배 날짜 2014-04-09 조회수 5564
제 목 성인 84%, 자고 나서 목이 아픈 ‘낙침’ 경험

 
  • - 체형에 맞는 베개 선택, 목을 보호하는 메밀 베개 사용이 좋아
    - 잦은 낙침은 목디스크 신호, 등 통증이나 팔 저림 수반되면 적극적인 치료 필요
성인 10명 중 8명은 잠을 자고 나서 목통증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척추관절전문 장형석한의원(대표원장 장형석)은 온라인 리서치패널을 통해 만 18~65세 성인 남녀 3,512명을 대상으로 ‘자고 나서 목통증을 경험한 적이 있는지’에 대해 조사했다. 그 결과, 69.6%인 2,446명이 ‘있다’고 밝혔다. 그리고 ‘자주 있다’는 14.4%(505명)로 총 84%가 자고 일어나서 목통증을 경험한 것으로 확인됐다.

아침에 자고 일어났는데 이상하게 목이 뻣뻣하고 뒷목이 심하게 아파 움직이기 힘들 때 ‘잠을 잘못 잤다’고 말한다. 이를 한의학에서는 수면 중 머리가 베개에서 떨어지면서 목을 다친다고 하여 ‘낙침(落枕)’이라 한다. 낙침은 대개 밤 시간 동안 목의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하여 주변 관절과 주위 조직에 염좌나 근육통이 생기는 것이다.

대다수 현대인들이 낙침을 경험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전문의 장형석 박사는 “낙침의 주요 원인은 누적된 피로와 체형에 맞지 않는 베개를 사용하고 있을 때 많이 발생한다. 베개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경추곡선이 꺾여서 혈액순환을 막고 근육을 긴장시킨다. 또한 우리는 자는 동안 움직임이 많은데, 푹신한 베개를 베면 머리를 좌우로 돌릴 때 경추곡선을 그대로 유지하지 못하고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목을 보호하는 메밀베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내게 알맞은 베개의 높이는 자신의 두 번째 손가락 셋째마디까지 오는 것이 좋은데, 메밀베개는 껍질을 넣었다 뺐다가 가능하기 때문에 자신의 손가락 기준에 맞춰 사용하기 편리하다. 메밀베개의 가운데 부분을 눌러 들어간 부위에 머리를 두고, 올라온 부위에 목을 대면 기능성 베개의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잠 잘 때 뒤척임에도 목의 높이를 고스란히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장형석 박사는 “누구나 1년에 한번쯤은 낙침을 겪을 수 있는데, 자주 발생한다면 ‘목디스크’ 신호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최근 1년 동안 낙침을 3회 이상 경험하고, 이로 인해 어깨 및 등통증이나 팔 저림이 나타난다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트윗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네이버 구글
 [ 글 목록 ]
전체 등록 게시글 수:  758
번호 제 목 날짜 조회
1983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지열냉,난방시스템  2014-08-25 6613
1982 ‘황기’, 퇴행성관절염에 효과 있다 2014-08-14 5502
1981 주마가편(전원주택사 분발해주세요)  2014-08-13 5001
1978 한국경제 tv에서 보도된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전원단지 2014-07-16 6138
1976 연통이 필요없는 친환경 벽난로를 소개합니다! 2014-06-27 7643
1975 제 21회 서울국제건축박람회 8월 16~19일 강남 SETEC 개최  2014-06-23 6546
1974 황사의 계절, 황사는 호흡기뿐만 아니라 피부에도 악영향 줘 2014-04-25 5144
1973 ‘건축물 기초·지하 시공법’ 등 2건 이달의 신기술로 지정 2014-04-09 5421
1972 국토부, 신진건축사 대상 공공건축물 설계공모 추진 2014-04-09 5285
▶▶ 성인 84%, 자고 나서 목이 아픈 ‘낙침’ 경험 2014-04-09 5565
1970 건축 하기전에 중요한 건축공사비내역서  2014-04-06 7952
1969 농어촌에서 희망을~~~~ 귀농귀촌 행사  2014-03-27 4947
1968 2014 전원주택총람 업체 무료등록 및 광고신청 안내 2014-03-25 5154
1967 감기 기침으로 유발되는 허리디스크 예방법 2014-03-14 5486
1965 정부지원 200~300만원 내일배움제 교육과정 알아 봅시다~ 2014-03-03 8870
< 1~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30 >
검색 :  
전원뉴스
Q&A
구인/구직
취재요청
전원컬럼
전원주택아카데미
최근 많이 본 기사
【ARCHITECT CORNER】 산은 ...
목재와 수분 (Wood and Wate...
【MATERIALS GUIDE】 강질폼...
월간 전원주택라이프 『2025...
꿈에 그린 전원주택에서 유황...
[ARCHITECTURE DESIGN] 지붕...
[이 달의 이슈] 도시민 농지...
[전원에서 만난 사람] 도시탈...
[내 손으로 구들 놓기 ⑦] 구...
공사 중단된 건물 매입해 산...
과월호 보기:
상호/대표자 : 전우문화사/노영선  |  사업자등록번호 : 105-41-60849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04-01800호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마포 라00108  |  주소 : 서울 마포구 성산로 124, 6층 (성산동,덕성빌딩)
TEL: 02-323-3162~5  |  FAX: 02-322-8386  |  이메일 : webmaster@countryhome.co.kr
입금계좌 : 기업은행 279-019787-04-018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윤홍로 (02-322-1201)

COPYRIGHT 2013 JEONWOO PUBLISHING Corp.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
회사소개  |  매체소개  |  사업제휴  |  정기구독센터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사업자정보확인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 전우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