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내 68개 희망마을 일반 농산어촌 개발 탄력 -1차 타당성 평가서 95% ‘합격’_최종 신청 건수 전년비 ‘48% 증가’
충남도는 “‘2015년도 일반 농산어촌 개발 신규 사업’ 공모에 신청한 도내 80개 마을에 대한 1차 타당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이 가운데 68개 희망마을이 통과했다”고 25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가 추진하는 ‘2015년도 일반 농산어촌 개발 신규 사업’은 농산어촌의 인구 유지와 지역별 특화 발전을 목적으로 시행하는 포괄 보조 사업으로, 도내 각 시·군에서 지난해 54건을 신청했으나 올해는 희망마을 만들기 역량 강화 교육으로 인하여 총 80건을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에 대해 도는 2월 10일부터 3일간 도 농어촌 지역 개발 전문가들이 참여해 사업 내용에 대한 타당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전체의 95%인 76건 884억 원에 대해 적격 판정을 내렸다.
도의 타당성 검토를 통과한 희망마을은 유형별로 ▲마을종합 9건(60억 원) ▲공동문화 8건(26억 원)▲체험·소득 4건(12억 원)▲경관·생태 19건(62억 원) ▲권역 단위 9건(184억 원) ▲농촌 중심지 활성화 12건(522억 원)▲신규마을 조성 1건(8억 원)이다.
특히 올해 도의 타당성 검토를 통과한 마을이 크게 늘어난 것은 3농 혁신의 핵심 사업인 ‘살기 좋은 희망마을 만들기 사업’ 등 지역 역량 강화 사업이 큰 성과를 내고 있음을 대외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는 분석이다.
도는 그동안 농림축산식품부의 일반농산어촌개발 신규 사업과 도의 희망마을 만들기 사업 추진 모델을 단일화해 역량에 맞는 단계별 지원 체계로 개편하는 등 지원해 왔다.
또 도는 이번 공모 사업에 대비해 지난해 12월 공무원교육원에서 시·군 공무원 50여 명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개최해 일반 농산어촌 개발 신규 사업과 도 희망마을 만들기 사업의 연계 추진에 대한 사전 설명을 실시한 것도 큰 도움이 됐다는 평가다.
도 관계자는 “도내 희망마을이 주민 주도성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어 사업 선정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고 있다”며 “앞으로 도내 희망마을이 공모 사업에 선정되도록 주민 역량 강화 사업을 적극 추진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