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꽃, 지붕을 수놓다 _ 남해 박종혜 씨의 정원 | |
2010-12-02 | |
![]()
![]() 남해 원예예술촌은 꽃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손바닥정원연구회'가 주축이 돼 조성한 마을이다. 박 씨는 이 모임의 오랜 회원으로 해마다 원예 전시회 이후 버려지거나 죽어가는 꽃들에 대한 미안한 마음으로 시작한 원예예술촌 프로젝트에 동참했다. "남해에서 원예예술촌 사업에 관심을 갖는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는 회원 모두 고개를 흔들었지요. 대부분 수도권 거주자들인데 생활 터전을 뒤로하고 멀리 떠날 수는 없으니까요." 그런데 한 번 구경이나 해보자며 찾았던 그곳에서 박 씨는 두근거리는 마음을 진정시킬 길이 없었다고 회상했다. "남해를 다녀온 날 도저히 잠이 오지 않더라고요. 오히려 단지가 조성된 후에는 그때 받은 감동만큼 가슴이 울리지는 않아요. 고지가 높은 그 땅 위에서 멀리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남해가 어찌나 아름답던지. 그때 다들 여기가 아니면 안 되겠다 했지요. 아직은 한 달에 세네 번밖에 못 들르지만 언젠가는 여유 부리며 남해에서 살 날이 오겠죠." ![]() ![]() 남해로 갈 것을 결정한 후 그녀는 집이 들어서기도 벅찬 100평 땅을 어떻게 독특하게 꾸밀지 고민이 많았다. 그러던 중 정원을 지붕 위로 올리면 어떨까 하는 아이디어가 번뜩였다. 지붕을 활용하면 공간 제약도 피할 수 있을뿐더러 누구보다 독특한 테마를 지녀 마을의 성격과도 딱 맞아 떨어졌다. 문제는 '어떻게'였다. 국내외 서적은 물론 인터넷에서 조차 지붕정원 사례를 찾기 어려웠다. 지붕에 잔디를 까는 이는 더러 있어도 꽃은 여름에 타버리기 일쑤고 배수, 방수, 관수 등 여간 까다로운 게 아니었다. 사실 그녀 역시 처음 1년은 실패에 실패를 거듭했다. "실내정원 위주로 10년을 꽃과 친하게 지냈으니 웬만큼 하면 되겠지 했어요. 집 설계부터 배수, 방수에 철저히 신경 썼고 무엇보다 바로 곁에서 자연이 돌봐주는 것만큼 완벽한 환경은 없을 거라 생각했고요." 무엇보다 기초를 탄탄히 쌓는 것에 역점을 뒀다. 지붕에 경사가 져 흙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부목을 곳곳에 세웠고 자연 배수를 가능케 하는 세덤블록을 적극 활용했다. 세덤블록의 2/3는 수분을 많이 머금고 천천히 내보내는 화산사로 채워 비가 많이 오거나 한여름에도 걱정이 없도록 했다. 그 위를 맑은 물이 흘러내리게 돕는 부직포를 깔고 마지막으로 인공토를 덮어 풀꽃들의 새 보금자리를 마련했다. 그녀는 흙은 많이 깔면 깔수록 식물들이 좋아하나 지붕의 깊이와 면적에 따라 그 양을 조절할 것을 조언했다. 기초를 튼튼히 하고 나니 서울에 올라와 있어도 마음이 그렇게 든든할 수 없단다. ![]() ![]() ![]() 정원을 재정비하면서 계단 정원과 지하 건물 지붕 정원 등 꽃 가꿀 공간도 넉넉해졌다. 사계절 화려한 색채를 유지하는 백일홍, 천일홍 등의 일년초와 플록스같이 추위에 강하면서 번식력 좋은 다년초 위주로 심고 블루세이지 등의 허브도 곳곳에 놓았다. 그 외에도 채송화와 비슷하게 생긴 다년초 송엽국, 붉게 물드는 석산, 자줏빛 노루오줌 등이 지붕 위를 다채롭게 꾸미고 있다. 디자인 산업에 종사하는 남편은 애초 반대했던 것과 달리 '하려면 완벽하게 하자'며 아내보다 더욱 열정적으로 참여했다. 풀꽃지붕의 포토 존이 된 독특한 모양의 조각물 벤치도 남편이 서울대 최해광 교수의 디자인 전시에서 눈여겨본 것을 직접 문의해 제작한 것이다. "이왕 남들에게 보여주는 장소라면 남녀노소 좋아할만한 볼거리를 두어야 좋지 않겠느냐고 하더라고요. 울타리 옆 새집도 남편 아이디어예요. 저는 딱 식물로 정원을 어떻게 가꿀까 고민했는데 남편은 그 외적인 부분도 고려하더라고요. 덕분에 남녀노소 좋아하는 장소가 됐지요." * 박종혜 씨가 꽃을 선택하는 기준은 따로 없다. 타샤튜더의 책에서 읽은 타샤의 이념이 그녀에겐 최고의 가이드라인이다. "타샤튜더는 틀에 박힌 꽃밭 조성을 거부하고 그때그때 자신이 좋아하는 꽃을 어울리겠다 싶은 곳이면 어디든 심었다고 해요. 복잡해 보일까 하는 걱정도 안 했대요. 나도 그런 마음가짐으로 정원에 손을 대고 있어요. 내가 좋아하는 꽃은 여기저기 심어본 후 나중에 가장 잘 자라는 곳을 골라 더 심어주기도 하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아요. 죽었구나 했던 꽃이 몇 개월 후 중구난방으로 피어나기도 하니 오히려 배의 기쁨을 가져다주기도 한답니다." ![]() ![]() < Country Home News > |
|
-
쪽빛 남해 바다를 끌어안은 남해 이정우 씨의 정원
이정우 씨의 정원은 시각적으로나 후각적으로 정원을 가꾸는 사람에겐 낙원 같은 곳이다. 하나부터 열까지 전부 이 씨가 관리한다는데 그래서인지 서울서 있을 때보다 더 눈코 뜰 새 없이 바쁘단다. 흙 한 줌 쥐어 본
2010-11-03 -
500여종의 야생화 가득한 로맨틱 가든 _ 파주 헤이리 예술마을 이명희 씨의 정원
이명희 씨는 정원을 자신의 집 마당으로 한정짓지 않는다. 건물이 들어서지 않은 공터와 마을 내 자투리 땅은 전부 그녀의 손길이 닿은 소담스러운 꽃들로 가득하다. 이 씨의 정원은 사계절 풍성하다. 시골집 정원같
2010-10-19 -
인체에 건강한 기운을 불어넣다, 자작나무
숲 속의 귀족으로 불리는 자작나무. 추운 겨울에도 굳건한 모습이어서인지 자작나무는 왠지 사람을 감상적으로 만드는 마력魔力이 있다.'자작나무는 저희들끼리건만 찾아든 나까지 하나가 된다/ 누구나 다 여기 오지
2010-10-19 -
세월이 담긴 선線의 아름다움, 최형일 · 배미녀 부부의 정원
"난 자신 없어. 내 손에만 들어오면 식물이 다 죽어버리거든." 10년이 넘는 세월을 식물과 동고동락同苦同樂하다시피 한 배미녀씨가 주변인들로 부터 가장 듣기싫은 소리 중 하나다. "두려움을 떨치고
2010-09-17 -
비움의 미학 배우는 부암동 김채경 씨의 정원
고층 건물이 빽빽이 들어선 서울 중심가에 단독주택이 옹기종기 모여 앉은 흔치 않은 동네가 있다. 바로 골목 순례지로 급부상한 종로구 부암동. 부암동 골목은 최근 7080세대의 시골에 대한 향수가 짙어지면서 주말
2010-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