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약초 이야기 14 스트레스성 소화불량을 다스리는 삽주 | |
2017-04-01 | |
![]() 스트레스성 소화불량을 다스리는 삽주 뿌리 부위에 따라 창출과 백출로 구분 글 기담 김용남 토종약초 연구가, kyn1509@naver.com 삽주는 전국의 산에서 비교적 쉽게 볼 수 있는 약초다. 다년초(여러해살이풀)로 암수 꽃이 따로 있으며 총포(꽃받침)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 자란 것은 30~40㎝ 크기로 국수처럼 가는 줄기는 수산이나 칼륨 성분이 함유돼 단단하여 바람에 잘 부러지지 않는다. 가을에 지상 부위는 고사枯死하나 뿌리를 캐어 보면 이듬해 나올 새순이 두세 개씩 붙어 있으며, 개체 수를 늘리기 위해 이른 봄 새순을 쪼개어 심어도 잘 자라 포기나누기로 번식시킬 수 있다. 삽주 씨앗은 해바라기 씨앗과 흡사한데 한겨울에도 잘 떨어지지 않으며 마른 꽃잎은 흰색을 띠어 겨울에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양지바르고 건조한 토양에서 잘 자라며, 고산 지역의 그늘진 곳에서 채취한 삽주는 양지바른 곳에서 자란 삽주보다 크기도 작고 뿌리 아랫부분이 대부분 2년도 지나지 않아 썩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뿌리는 섬유질로 이뤄져 질기거나 단단하며 모양이 일정치 않은 다양한 형태의 괴형怪形으로 흑갈색을 띠며 독특한 향기와 쓴맛이 난다. 동형동치同形同治, 위장과 닮은 백출 삽주뿌리의 가늘고 길쭉한 부분은 ‘창출’이라 하며 뿌리 아랫부분의 비교적 둥근 모양의 근경을 ‘백출’이라 한다. 이른 봄과 가을에 채취해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 잘게 썰어 살짝 볶아서 쓰거나 쌀뜨물에 담가 법제法製해 말려서 쓴다. 삽주싹은 맛있는 산나물이다. 도시인에겐 비교적 생소한 나물이지만 산촌에 사는 사람들에겐 맛있는 산나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른 봄 4~5㎝ 크기로 자란 연한 삽주싹은 손으로 꺾으면 흰 즙이 나오는데 민들레나 씀바귀의 흰색 유즙처럼 쓰거나 떫은맛이 없어 생으로 무쳐서 먹거나 튀김이나 국거리로 좋다. 삽주는 흰색의 유즙이 나오는 식물 중 유일하게 순한 맛을 낸다. 삽주싹과 더덕순은 며느리 주기 아깝다는 옛 속담이 있을 정도로 풍미 좋은 봄철 산나물이다. 생김이 같은 것으로 치료한다는 뜻의 ‘동형동치同形同治’라는 말이 있다. 위장의 모양과 닮은 백출이나 복령은 위장질환에, 사람의 뇌腦와 비슷한 호두는 뇌질환에, 사람의 무릎처럼 퉁퉁한 마디가 있어 퉁퉁 마디라 불리는 우슬(쇠무릎지기)은 관절질환에 사용한다. 사람의 위장 모양과 비슷한 삽주의 백출 부분은 위장질환의 명약으로 위를 편하게 하며 먹은 것을 잘 삭여 소화불량에 좋다. 주성분은 아트락틸론Atractylone이며 특유의 향과 맛을 지닌 방향성 정유精油 성분으로 위액의 분비를 촉진시켜 소화를 돕는다. 과도한 스트레스와 그로 인한 신경성 소화불량에 매우 좋은 약초로, 신경성으로 식욕이 없거나 식후 속이 더부룩하며 자주 체하는 증상에 좋다. ![]() 늦가을부터 이른 봄, 약성藥性 으뜸 현대인에게 잦은 신경성 소화불량은 방치하면 위염으로 진행돼 쉽게 치료하기 어렵다. 잦은 소화불량으로 혈액이 위로 몰려 두통과 손발이 찬 수족냉증을 동반하며 영양 흡수가 잘 이뤄지지 않아 영양 불균형으로 인한 빈혈이 생기고 늘 피곤하며 체력 저하로 일상생활이 어려워진다. 삽주를 차로 달여 꾸준히 복용하면 신경성 소화불량에 매우 좋으며 만성 소화불량으로 인한 빈혈 예방과 식욕부진에도 좋다. 삽주는 위염에도 좋다. 급성 위염과 젊은 사람에게 많은 과산성 위염, 나이든 사람에게 나타나는 저산성 위염 등의 만성 위염과 장염, 복막염에도 좋다. 불규칙한 식사와 소화하기 힘든 음식, 자극적인 음식, 급하게 먹는 식습관과 지나친 커피와 탄산음료 등이 주로 위의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신트림이 나오고 가슴이 쓰리기도 한다. 심하면 잦은 구역질이 나고 토하기도 한다. 삽주를 달여 차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분말로 먹으면 좋다. ![]() 삽주는 관절과 신장 기능 장애로 인한 부기에도 좋다. 삽주는 몸 안의 습기를 제거하는 대표적인 약초 중 하나로 체내의 불필요한 습濕으로 인한 관절질환에 유용하게 쓰인다. 민간에선 오래전부터 관절염 치료에 사용해 왔다. 쌀뜨물에 이틀간 삽주를 담가 껍질을 벗긴 후 말려서 가루를 내어 항염증 효과가 높은 황경피 가루와 같은 양으로 섞어 따뜻한 물과 함께 한 번에 한 티스푼씩 하루 3번 식후에 먹으면 좋다. 삽주는 체내 여분의 수분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작용(수독 없앰)을 해 신장 기능 장애로 인한 부전(수분이 머물러 있는 증상) 증상과 붓기, 신장의 기능 저하로 인한 빈뇨증을 개선하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해 이뇨를 돕는다. 삽주는 체내의 불필요한 습과 신장이 허해서 발생하는 신허腎虛 요통과 오랜 위장병에 동반되는 수족 냉증에 긴요하게 쓰이는 따뜻한 성질의 약초다. 민간에선 오래전부터 혈압에 사용하던 약초로 고혈압, 저혈압에 모두 쓸 수 있으며 조갈병(당뇨)에도 좋다. 약성이 가장 좋은 늦가을부터 이른 봄까지 채취해 쓴다. ![]() IN SHORT 삽주, 실생활 활용 팁 풍한風寒에 의한 감기, 두통에 좋은 창출차 - 삽주 뿌리줄기인 창출의 오미五味는 단맛과 매운맛이다. 매운 성분은 땀을 나게 하는 발한 작용으로 감기와 그로 인한 두통에도 좋다. 풍한에 의한 감기몸살로 뼈마디가 쑤시고 허리와 무릎이 아플 때도 좋다. - 물 1~1.5ℓ에 15~20g을 넣어 물이 반으로 줄 때까지 달여 식후에 먹는다. 소화불량, 식욕부진, 위염과 당뇨에 좋은 백출 분말 - 껍질을 벗긴 백출을 쌀뜨물에 하룻밤 담가 잘게 썰어 햇볕에 말려 가루를 내어 보관한다. 한 번에 티스푼으로 2/3스푼을 식후에 먹거나 백출 분말을 꿀과 함께 환을(콩알 1/3 크기) 지어 식후에 7~8알씩 먹는다. 부종과 신부전증에 좋은 삽주, 복령피차 - 복령피(껍질)는 소변을 잘 나오게 하며 삽주와 함께 몸 안의 불필요한 수분을 제거하는 데 좋은 약초다. - 물 1~1.5ℓ에 삽주 15~20g, 복령피 30~40g을 넣어 물이 반으로 줄 때까지 달여 식후에 먹는다. ※ 헛배가 부를 때와 설사를 멈추는 데에도 좋다. 관절과 식욕을 돋는 약술 담구기 - 옛날부터 정초에 액운을 막고 연수延壽하는 데 약술로 쓰이는 도소주屠蘇酒의 원료가 삽주이다. - 백출, 창출 가릴 것 없이 삽주를 깨끗이 씻어 물기를 건조한 후 과일 담금주에 담가 실온에 3개월 이상 숙성 후 한 번에 소주잔으로 한두 잔씩 식후와 잠자기 전에 먹는다. ![]() T 033-461-5558, 010-5233-3574 W www.기담약초.com E kyn1509@naver.com ![]() ![]() < Country Home News > |
|
-
산약초 이야기 14 스트레스성 소화불량을 다스리는 삽주
스트레스성 소화불량을 다스리는 삽주뿌리 부위에 따라 창출과 백출로 구분글기담 김용남토종약초 연구가, kyn1509@naver.com삽주는 전국의 산에서 비교적 쉽게 볼 수 있는 약초다. 다년초(여러해살이풀)로 암수 꽃이
2017-04-01 -
산약초 이야기 13. 항암약초 토종버섯(3) 습과 수분을 다스리는 복령
항암약초 토종버섯(3)습濕과 수분을 다스리는 복령글 기담김용남토종약초 연구가, kyn1509@naver.com복령은 물빠짐이 좋은 산성의 사질 토양으로 한겨울에도 볕이 잘 드는 남향이며 주변에 잡풀이 없는 산중턱 죽은
2017-03-01 -
산약초 이야기 12 노루궁뎅이버섯, 석이버섯
항암약초 토종버섯(2)노루궁뎅이버섯,석이버섯글기담 김용남토종약초 연구가, kyn1509@naver.com포린包鱗에 쌓인 도토리가 하나둘씩 떨어지는 가을 문턱 참나무 숲에는 노루궁뎅이버섯과 능이버섯,벚꽃버섯,털귀신 그
2017-02-01 -
산약초 이야기 11 가을 산의 항암약초 토종버섯(1) 말굽버섯, 운지버섯
가을 산의 항암약초 토종버섯(1)말굽버섯, 운지버섯글기담 김용남토종약초 연구가, kyn1509@naver.com가을 숲에 신의 선물이라 불리는 버섯들이 가득하다. 버섯은 나무와 풀과는 달리 엽록소가 없어 광합성 작용을 하
2016-11-01 -
산약초 이야기 10 정精과 신腎을 이롭게 하는 삼지구엽초
정精과 신腎을 이롭게 하는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해발 600m 고지 이상의 그늘진 숲 속이나 북향의 산기슭에 무리 지어 서식한다. 땅속 뿌리부터 명주실처럼 가는 줄기가 하
2016-10-01 -
산약초 이야기 09 장 해독 약반되는 질경이
장 해독腸解毒 약반藥飯되는 질경이질경이는 인가 근처나 길섶에 무리 지어 자라는 다년초로, 농부에게는 농사철의 기상상태를 알려주고 약초꾼에겐 길을 잃었을 때 방향을 찾는 지표가 되는 고마운 식물이다. 예부터
2016-08-01 -
산약초 이야기 08 천마
기氣와 혈血을 통하게 한다!소통의 영약 ‘천마天馬’천마는 번식과 생장 조건이 까다로워 근래엔 채취하기 싶지 않은 약초다. 채취가 쉽지 않아서일까. '하늘이 내려준 약'이라는 말이 있을 만큼, 그 약효
2016-06-01 -
산약초 이야기 07 엉겅퀴
해독에 좋은 천연 간 치료제, 엉겅퀴엉겅퀴는 6~7월에 피는 자줏빛 꽃이 아름다운 다년초 식물이다. 잎 가장자리의 톱니 모양을 따라 가시가 있어 가시 나물이라고도 한다. 어린 새싹은 한겨울 눈밭에서도 얼어
2016-05-01 -
산약초 이야기 06 민들레
부작용 없는 천연 해독초 '민들레'잔설이 남아있는 산과 계곡의 얼음은 그대로인데 물가의 버드나무 가지에는 이미 꽃이 피고 얼음 밑으로는 물이 녹아 흐르는 소리가 산중의 봄을 알린다.노란 꽃망울이 소담스러운
2016-04-01 -
산약초 이야기 05 부처손
천년불사千年不死약사여래의 약초 부처손불교에서 약사여래는 병든 중생을 구제하는 부처님이다.단순히 부처손이 약사여래의 손바닥만을 닮아서 부처손은 아니다.험준한 산악지역에서 자라는 놀라운 생존력을 바탕으
2016-03-01 -
산약초 이야기 04 오가피
만병(萬病)저항력 약초오가피어린잎이 산삼을 닮은 오가피는 효능까지 산삼에 버금간다.과거 불로장생에 으뜸가는 약재로 이용할 만큼 뛰어난 효능은 끊임없이 사람들을 유혹했다.그래서인가.이제는 야생 가시오가피
2016-02-01 -
산약초 이야기 03 마가목
염증을 해소하고기혈을 통하게 하는 약나무,마가목마가목은 깊은 산에서 군락을 이뤄 자라며 추위를 잘 견디기 때문에 고산지대 바위 난간이나 척박한 곳에서도 잘 자라는 끈질긴 생명력을 갖고 있다.그래서인지 버릴
2016-01-01 -
산약초 이야기 02_겨우살이
참나무에 기생하는 겨우살이를 옛 로마에서는 성스러운 나무에서 자란 ‘황금가지’로 불렀다. 유럽에서는 참나무를 매우 신성하게 여겼고 참나무에 기생한 겨우살이를 영생불사永生不死의 상징으로 여겨 절대적인 존
2015-12-01 -
산약초 이야기 01 부인병의 묘약, 참당귀
부인병의 묘약,참당귀사방천지가 하늘과 맞닿은 봉우리들로 둘러싸인 강원도 인제군 방태산1,430m고지.신선이 머물다 갈 것 같은 풍경 안에 약초를 덖는 토종약초 연구가,기담 김용남 씨가 산다.사업가로 남부럽지 않
2015-11-01
-
산약초 이야기 13. 항암약초 토종버섯(3) 습과 수분을 다스리는 복령
항암약초 토종버섯(3)습濕과 수분을 다스리는 복령글 기담김용남토종약초 연구가, kyn1509@naver.com복령은 물빠짐이 좋은 산성의 사질 토양으로 한겨울에도 볕이 잘 드는 남향이며 주변에 잡풀이 없는 산중턱 죽은
2017-03-01 -
산약초 이야기 12 노루궁뎅이버섯, 석이버섯
항암약초 토종버섯(2)노루궁뎅이버섯,석이버섯글기담 김용남토종약초 연구가, kyn1509@naver.com포린包鱗에 쌓인 도토리가 하나둘씩 떨어지는 가을 문턱 참나무 숲에는 노루궁뎅이버섯과 능이버섯,벚꽃버섯,털귀신 그
2017-02-01 -
산약초 이야기 11 가을 산의 항암약초 토종버섯(1) 말굽버섯, 운지버섯
가을 산의 항암약초 토종버섯(1)말굽버섯, 운지버섯글기담 김용남토종약초 연구가, kyn1509@naver.com가을 숲에 신의 선물이라 불리는 버섯들이 가득하다. 버섯은 나무와 풀과는 달리 엽록소가 없어 광합성 작용을 하
2016-11-01 -
산약초 이야기 10 정精과 신腎을 이롭게 하는 삼지구엽초
정精과 신腎을 이롭게 하는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해발 600m 고지 이상의 그늘진 숲 속이나 북향의 산기슭에 무리 지어 서식한다. 땅속 뿌리부터 명주실처럼 가는 줄기가 하
2016-10-01 -
산약초 이야기 09 장 해독 약반되는 질경이
장 해독腸解毒 약반藥飯되는 질경이질경이는 인가 근처나 길섶에 무리 지어 자라는 다년초로, 농부에게는 농사철의 기상상태를 알려주고 약초꾼에겐 길을 잃었을 때 방향을 찾는 지표가 되는 고마운 식물이다. 예부터
2016-08-01
-
산약초 이야기 13. 항암약초 토종버섯(3) 습과 수분을 다스리는 복령
항암약초 토종버섯(3)습濕과 수분을 다스리는 복령글 기담김용남토종약초 연구가, kyn1509@naver.com복령은 물빠짐이 좋은 산성의 사질 토양으로 한겨울에도 볕이 잘 드는 남향이며 주변에 잡풀이 없는 산중턱 죽은
2017-03-01 -
산약초 이야기 12 노루궁뎅이버섯, 석이버섯
항암약초 토종버섯(2)노루궁뎅이버섯,석이버섯글기담 김용남토종약초 연구가, kyn1509@naver.com포린包鱗에 쌓인 도토리가 하나둘씩 떨어지는 가을 문턱 참나무 숲에는 노루궁뎅이버섯과 능이버섯,벚꽃버섯,털귀신 그
2017-02-01 -
산약초 이야기 11 가을 산의 항암약초 토종버섯(1) 말굽버섯, 운지버섯
가을 산의 항암약초 토종버섯(1)말굽버섯, 운지버섯글기담 김용남토종약초 연구가, kyn1509@naver.com가을 숲에 신의 선물이라 불리는 버섯들이 가득하다. 버섯은 나무와 풀과는 달리 엽록소가 없어 광합성 작용을 하
2016-11-01 -
산약초 이야기 10 정精과 신腎을 이롭게 하는 삼지구엽초
정精과 신腎을 이롭게 하는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해발 600m 고지 이상의 그늘진 숲 속이나 북향의 산기슭에 무리 지어 서식한다. 땅속 뿌리부터 명주실처럼 가는 줄기가 하
2016-10-01 -
산약초 이야기 09 장 해독 약반되는 질경이
장 해독腸解毒 약반藥飯되는 질경이질경이는 인가 근처나 길섶에 무리 지어 자라는 다년초로, 농부에게는 농사철의 기상상태를 알려주고 약초꾼에겐 길을 잃었을 때 방향을 찾는 지표가 되는 고마운 식물이다. 예부터
2016-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