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GARDEN] 우리 집 환경 지킴이, 공기정화식물 | |
2019-01-25 | |
![]() 우리 집 환경 지킴이, 공기정화식물 현대인은 대부분 하루의 90% 이상을 실내에서 생활한다. 그런데 건축물이 점점 기밀해지면서 실내 공기는 오염될 수밖에 없다. 미국환경부가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5대 요인 가운데 하나로 실내 공기를 규정한 이유다. 실내 공기의 질은 환기장치 외에 공기정화식물로도 개선할 수 있다. 일례로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선 밀폐된 우주선 안의 공기를 정화하는 방법으로 식물을 활용한다. 오염 물질을 채운 밀폐된 공간에 식물을 넣었더니 공기 오염 물질인 폼알데하이드, 벤젠,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의 농도가 24시간 이내에 80%나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우리 집 환경을 쾌적하고 건강하게 유지해주는 공기정화식물, 과연 어떤 것들이 있을까. 글 백홍기 기자 | 자료출처 농촌진흥청 ‘농사로’ www.nongsaro.go.kr 공간을 더욱 쾌적하고 깨끗하게 식물은 종에 따라 영양분을 흡수하는 방식이 다르다. 이를 고려해 실내에 식물을 배치하면 공기의 질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식물은 보통 영양분을 뿌리로 빨아들이지만, 관음죽은 잎으로 많은 양의 영양분을 빨아들이면서 탈취 효과를 낸다. 이러한 기능성 식물을 화장실에 두면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조리할 때 일산화탄소가 발생하는 주방엔 스킨답서스, 침실엔 밤에 공기정화 효과가 뛰어난 선인장이나 다육식물, 공부방엔 음이온을 내뿜는 로즈마리나 팔손이나무를 두면 좋다. 신축 건물에 새집증후군이 걱정이라면,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을 많이 흡수하는 아레카야자나 남천나무를 넓은 공간인 거실에 두면 좋다. ![]() 오염물질에 따른 공기정화식물의 종류 미세먼지 제거에 좋은 식물 공기 중에 떠다니는 입자를 통틀어 총 부유분진[total suspended particulate: TSP]이라 하고, 지름이 10㎛ 이하인 입자를 PM10 또는 호흡성분진[respirable suspended particulate: RSP], 2.5㎛ 이하인 입자는 PM2.5 또는 미세먼지라고 한다. 대체로 부유분진은 대기에 떠다니는 입자상 물질 중에서 10㎛ 이하인 것을 말하며, 오염된 도심지역 먼지의 90~95%를 차지한다. 실내 공기 가운데 분진은 대부분 흡연과 난방, 조리, 사무용 기기와 건축자재의 마모와 열화에 의해 발생한다. 분진에 단기간 또는 장기간 노출되면, 눈과 기관지가 해를 입는다. 미세먼지는 20~30㎛ 크기의 식물 기공에 흡수되거나 잎 표면에 있는 털 등에 흡착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플러스로 대전帶電된 미세먼지는 식물에서 발생한 음이온에 의해 제거되기도 한다. ※ 미세먼지는 식물의 잎 표면의 반질반질한 왁스 층에 흡착되거나 잎 뒷면 기공으로 흡수되기도 한다. 미세먼지 제거율을 높이려면 잎에 달라붙은 먼지를 수시로 닦아줘야 한다. 기공이 있는 잎 뒷면은 가능하면 만지지 말아야 한다. ●주요 식물: 시클라멘, 아이비, 팔손이나무 등 ![]()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에 좋은 식물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실온에서 액체로 휘발하고, 피부에 잘 흡수되는 성질이 있으며, 새집증후군의 주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건축재료, 세탁용제, 가구류, 카펫접착제, 페인트 등에서 방출되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이 대표적인 물질이다. 이러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실내 공기에서 300~400종류가 검출된다. ●주요 식물: 아레카야자, 드라세나 맛상게아나, 무늬벤자민 고무나무, 드라세나 송오브인디아, 드라세나 마지나타, 드라세나 자마이카, 무늬쉐플레라, 스파티필룸 광엽, 디펜바키아 트로픽스노우, 드라세나 콤팩타, 드라세나 산데리아나, 반딧불머위, 삼색데코라고무나무, 스파티필룸, 보스톤고사리, 도깨비고비, 아이비, 자금우, 무늬접란 등 ![]() 폼알데하이드 제거에 좋은 식물 폼알데하이드(HCHO)는 각종 건축자재나 가구류의 방부제, 접착제에서 많이 발생하며 새집증후군의 주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실내 식물에 의한 폼알데하이드 제거는 기공을 통해 흡수된 폼알데하이드가 포름산으로 전화되고, 포름산은 다시 이산화탄소로 전환돼 광합성 과정인 갤빈 사이클을 통해 당, 유기산, 아미산 등으로 전환되면서 무독성화 된다. 결국, 흡수된 폼알데하이드의 탄소는 이산화탄소처럼 대사산물代謝産物로 이용되거나, 뿌리 부분의 미생물 영양원으로 이용되면서 제거된다. ●주요 식물: 부처손, 파키라, 팔손이나무, 남천, 드라세나 마지나타, 돈나무, 아왜나무, 디펜바키아‘트로픽스노우’, 무늬산호수, 반딧불머위, 삼색데코라고무나무, 아스플레니움, 필로덴드론 제나두, 해마리아, 산호수, 싱고니움, 황금마삭줄, 후마타, 봉의꼬리, 무늬접란 등 ![]() 이산화탄소 제거에 좋은 식물 이산화탄소는 무색, 무취 기체다. 미생물의 분해 작용이나 인간의 물질대사 과정, 석유, 가스를 사용하는 실내 난방기구 등을 사용할 때 발생한다. 실내에서 연소기구를 사용할 땐 3,000?을 초과하기도 한다. 우리나라 건축법과 환경보전법에서 정한 이산화탄소의 실내 공기 환경기준은 미국과 같은 시간당 평균 1,000?이다. 이산화탄소는 인체에 무해하나 농도가 5,000?을 초과하는 환경에선 호흡 장애와 중독 증세를 일으킬 수 있다. 식물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뿌리에서 빨아올린 물을 이용해 광합성을 하며, 이 과정에서 대기에 있는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동시에 같은 양의 산소를 배출한다. 실내 공기는 이 과정에서 정화된다. ●주요 식물: 무늬벤자민 고무나무, 팔손이나무, 스파티필룸, 아이비, 테이블야자, 스킨답서스, 형광스킨답서스 등 ![]() 일산화탄소 제거에 좋은 식물 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 기체이며, 불완전 연소로 발생하기 때문에 사무공간보다 일반 가정에서 많이 발생한다. 인체에 들어가면 적혈구의 산소 운반 능력을 저하시켜 두통, 구토, 호흡곤란을 일으키거나 심할 땐 사망에 이른다. ●주요 식물: 도깨비고비, 반딧불털머위, 스킨답서스, 산호수, 자금우, 아펠란드라, 형광스킨답서스 등 ![]() 화장실 냄새 제거에 탁월한 식물 암모니아 가스 제거 능력이 우수해 화장실에 적합한 식물이다. ●주요 식물: 관음죽, 맥문동, 스파티필룸, 안수리움, 테이블야자 등 ![]() 아토피와 천식에 좋은 식물 새집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은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비염이다. 새 집에 사는 사람의 94.1%가 새집증후군을 느꼈으며, 대처 방법으로 43.1%(’01, 연세대)가 공기정화식물을 들여놓았다고 한다. 식물은 새집증후군 증상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인 폼알데하이드 등을 제거하는 효과는 있으나, 식물이 방출하는 향에 의한 증상 완화 효능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주요 식물: 귤나무, 로즈마리, 아라우카리아, 무늬쉐플레라‘홍콩’, 테이블야자, 치자나무, 팔레놉시스(호접란) ![]() 수면에 도움 주는 식물 CAM(Crassulacean acid metabolism) 식물은 밤에 기공을 열어 저장한 이산화탄소로 낮에 포도당을 생산한다. 밤에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때문에 침실에 배치하면 좋다. ●주요 식물: 선인장, 호접란, 다육식물 등
![]() ![]() ![]() < Country Home News > |
|
-
[HOME & GARDEN] 생울타리 나무로 많이 이용되는 탱자나무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생울타리 나무로 많이 이용되는 탱자나무자료제공김영사www.gimmyoung.com※본 원고는 경상대학교 명예교수인 정계준 박사(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교수)가 지은 《
2020-04-28 -
[HOME & GARDEN] 바람개비 모양의 아름답고 향기로운 꽃 마삭줄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바람개비 모양의 아름답고 향기로운 꽃 마삭줄※본 원고는 경상대학교 명예교수인 정계준 박사(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교수)가 지은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
2020-02-26 -
[HOME & GARDEN] 겨울에 꽃이 피는 큰 잎의 상록수 비파나무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겨울에 꽃이 피는 큰 잎의 상록수 비파나무※본 원고는 경상대학교 명예교수인 정계준 박사(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교수)가 지은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
2020-01-23 -
[HOME & GARDEN] 적응력이 좋은 아름다운 꽃나무 황매화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적응력이 좋은 아름다운 꽃나무, 황매화 ※본 원고는 경상대학교 명예교수인 정계준 박사(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교수)가 지은 《정원수로 좋은 우리
2020-01-02 -
[HOME & GARDEN] 겨울에 더 아름다운 나무 동백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겨울에 더 아름다운 나무 동백※본 원고는 경상대학교 명예교수인 정계준 박사(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교수)가 지은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의 일부분을
2019-11-26 -
[HOME & GARDEN] 고운 열매가 많이 열리는 뜰보리수나무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고운 열매가 많이 열리는 뜰보리수나무※본 원고는 경상대학교 명예교수인 정계준 박사(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교수)가 지은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의
2019-10-24 -
[HOME & GARDEN] 생울타리로 좋은 상록 난대수목 광나무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생울타리로 좋은 상록 난대수목광나무※본 원고는 경상대학교 명예교수인 정계준 박사(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교수)가 지은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의 일부분
2019-09-26 -
[HOME & GARDEN] 꽃, 잎, 열매가 특이한 작은 관목 박쥐나무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자료제공김영사www.gimmyoung.com※본 원고는 경상대학교 명예교수인 정계준 박사(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교수)가 지은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의 일부분을 김
2019-07-29 -
[HOME & GARDEN] 향기로운 꽃과 아름다운 열매 치자나무
자료제공김영사www.gimmyoung.com※본 원고는 경상대학교 명예교수인 정계준 박사(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교수)가 지은 《정원수로 좋은 우리 나무 252》의 일부분을 김영사 출판사 제공으로 게재한 것입
2019-06-24 -
여행길에 마주친 야생화원
여행길에 마주친 야생화원국립수목원은 계절을 앞서 만나는 우리 야생화 전시회를 1월 21일부터 28일까지 서울역에서 개최했다. ‘우리 꽃 야생화 개화 시기 조절 기술 연구’의 성공 결과물을 알리는
2019-03-26 -
[HOME & GARDEN] 초록초록 아기자기한 인테리어 포인트 ‘다육이’
초록초록 아기자기한 인테리어 포인트‘다육이’다육식물은 사막이나 높은 산 등 건조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진화한 것으로 줄기나 잎에 많은 양의 수분을 저장한다. 선인장이 대표적인 다육식물이다.
2019-02-25 -
[HOME & GARDEN] 우리 집 환경 지킴이, 공기정화식물
우리 집 환경 지킴이, 공기정화식물현대인은 대부분 하루의 90% 이상을 실내에서 생활한다. 그런데 건축물이 점점 기밀해지면서 실내 공기는 오염될 수밖에 없다. 미국환경부가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5대 요
2019-01-25 -
[HOME & GARDEN] 자연주의 식재 스타일 디자인하기
테마에 맞는 화단 디자인하기자연주의 식재 스타일 디자인하기Combination of Naturalistic Planting Design테마는 작가가 자신의 이야기를 표현하는 데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테마가 있어야 전하려는 이야기
2018-10-25 -
[HOME & GARDEN] 그늘 화단 식재 디자인하기
그늘 화단 식재 디자인하기Combination of Shade Plants테마는 작가가 자신의 이야기를 표현하는 데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테마가 있어야 전하려는 이야기의 의도와 주장을 명확하게 담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2018-09-27 -
[HOME & GARDEN] 화이트 색상 테마의 화단 디자인하기
화이트 색상 테마의 화단 디자인하기Combination of white, silver and grey colour테마는 작가가 자신의 이야기를 표현하는 데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테마가 있어야 전하려는 이야기의 의도와 주장을 명확하
2018-08-28 -
[HOME & GARDEN] 로맨틱한 분위기로 디자인하기
로맨틱한 분위기로 디자인하기테마는 작가가 자신의 이야기를 표현하는 데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테마가 있어야 전하려는 이야기의 의도와 주장을 명확하게 담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화단을 꾸밀 때도 마찬
2018-07-24 -
[HOME & GARDEN] 따스하고 정열적인 색상의 화단 디자인하기
따스하고 정열적인 색상의 화단 디자인하기Combination of Red, Orange and Yellow Colour 테마는 작가가 자신의 이야기를 표현하는 데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테마가 있어야 전하려는 이야기
2018-06-26 -
[HOME & GARDEN] 사계절 풍성한 식재 디자인
사계절 풍성한 식재 디자인정원은 하나의 공간이다. 그렇기 때문에 정원 디자이너는 ‘그 공간을 무엇으로 어떻게 채우느냐’는 과제와 맞닥뜨리게 된다. 한편, 정원은 계절에 따라 변화하면서 시간의 흐름
2018-04-25 -
[HOME & GARDEN] 식물의 질감과 형태를 이용한 식재 디자인
식물의 질감과 형태를 이용한 식재 디자인정원은 하나의 공간이다. 그렇기 때문에 정원 디자이너는, 그 공간을 무엇으로 어떻게 채우느냐는 과제와 맞닥뜨리게 된다. 한편, 정원은 계절에 따라 변화하며 시간의
2018-03-27 -
[HOME & GARDEN] 정원의 색상 테마에 맞는 식재 디자인하기
정원의 색상 테마에 맞는 식재 디자인하기식물 색상을 이용한 식재 디자인정원은 하나의 공간이다. 그렇기 때문에 정원 디자이너는 그 공간을 무엇으로 어떻게 채우느냐는 과제와 맞닥뜨리게 된다. 한편, 정원은 계절
2018-02-26 -
[HOME & GARDEN]원하는 스타일에 맞는 식재 디자인하기, 식물의 색과 질감, 땅과 하늘이 만든 오케스트라
원하는 스타일에 맞는 식재 디자인하기식물의 색과 질감, 땅과 하늘이 만든 오케스트라 CONTENTS1. 식재 디자인 스케치하기2. 원하는 스타일에 맞는 식재 디자인하기3. 정원의 색상 테마에 맞는 식재 디자
2018-01-24 -
[HOME & GARDEN]식재 디자인 스케치하기, 자연의 오케스트라를 위한 악보
식재 디자인 스케치하기자연의 오케스트라를 위한 악보 CONTENTS1. 식재 디자인 스케치하기2. 원하는 스타일에 맞는 식재 디자인하기3. 정원의 색상 테마에 맞는 식재 디자인하기4. 사계절 풍성한 식재 디자인하
2017-12-26
-
[HOME & GARDEN] 한겨울 집 안 가득 푸른 기운을 발산하는 ‘온실’
한겨울 집 안 가득 푸른 기운을 발산하는 ‘온실’단독(전원)주택의 장점 가운데 하나가 자신만의 온실을 설치해 즐길 수 있다는 것이다. 마당에 두 평 정도의 아담한 온실, 또는 주방이나 거실과 연
2018-12-26 -
[HOME & GARDEN] 아름다운 정원 조경 레시피 85 ⑥
요즘 들어 건물은 작고 아담해도 좋다는 생각이 든다. 대지 전체에 집을 짓는 것이 아니라, 조금 크기를 줄여서 작게 짓고 그만큼 녹음을 배치한다. 일본식 다실茶室에서 엿볼 수 있는 가치관과 비슷한 것 같다
2018-12-24 -
[HOME & GARDEN] 아름다운 정원 조경 레시피 85 ⑤
아름다운 정원 조경 레시피 85자료제공한스미디어위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비춰 달빛을 표현했다. 지피식물이나 강자갈도 낮과는 다른 분위기를 즐길 수 있다.편백나무 집(아이치현)설계:세키스이 하우스&nb
2018-11-23 -
[HOME & GARDEN] 자연주의 식재 스타일 디자인하기
테마에 맞는 화단 디자인하기자연주의 식재 스타일 디자인하기Combination of Naturalistic Planting Design테마는 작가가 자신의 이야기를 표현하는 데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테마가 있어야 전하려는 이야기
2018-10-25 -
[HOME & GARDEN] 아름다운 정원 조경 레시피 85 ④
아름다운 정원 조경 레시피 85자료제공 한스미디어본 원고는 일본에서 조경 디자인 전문가로 활동하는 오기노 도시야 씨가 지은 《아름다운 정원 조경 레시피 85》의 일부분을 한스미디어
2018-10-25
-
『2024년 01월』 CONTENTS JANUARY 2024 Vol.298
SPECIAL FEATURE예비 건축주를 위한 직영건축 가이드건축주가 업체 또는 시공 전문가를 직접 고용해 비용을 지불하고 집을 짓는 방식을 직영건축이라고 한다. 따라서 건축주는 공사현장을 직접 관리·감독하는
2024-01-01 -
【2023년 12월】CONTENTS December 2023 Vol.297
SPECIAL FEATURE2023 대한민국 목조건축대전 수상작(사)한국목조건축협회가 주관하고 산림청이 주최하며 국토교통부와 서울특별시가 후원하는‘2023 대한민국목조건축대전’에서 11개 준공 작품과 12개의
2023-12-01 -
【2023년 11월】CONTENTS NOVEMber 2023 Vol.296
SPECIAL FEATURE장점 살리고 단점 극복한 ALC 주택 짓기지난 2016년 포항·경주 지진 이후 조적조인 ALC 주택이 지진에 취약하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널리 퍼졌다. 최근에는‘순살 아파트’논란, 시멘
2023-11-01 -
【2023년 10월】CONTENTS October 2023 Vol.295
SPECIAL FEATURE건축주가 알아야 할 친환경 단열재단열재 종류가 무수히 많아 어떤 제품을 써야 할지 예비 건축주들이 결정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탄소중림 시대로 가는 요즘이기에 그 고민 이 더욱 깊어지리
2023-10-01 -
【2023년 09월】CONTENTS September 2023 Vol.294
SPECIAL FEATURE전원형 거주시설, 활기 띠는 수익형 주택 시장펜데믹 이후 국내 여행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여행객들의 눈길을 사로 잡을만한 숙박시설을 선보이는 업체들도 늘어나고 이런 수요 증가에 고무 돼 새
2023-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