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등록 RSS 2.0
장바구니 주문내역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home
검색
기사 검색 :   18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10 / 19 페이지) 최근기사 순
 
[에너지 절약 주택] 태양열 에너지 산업 확대 방안 아라! - 태양열 온수 급탕시스템   2009년 12월호 지면발행
1970년대 두 차례에 걸친 오일쇼크로 신재생에너지가 화두로 떠오르면서 태양열 산업은 급격한 발전을 이뤘다. 전 세계적으로 태양열 시스템의 60% 이상이 태양열 온수급탕용으로 사용되는데 우리나라는 IMF 이후 그 수가 줄어 21세기에 들어서는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정부는 태양열 집열기 면적에 따라 지원금을 기부하는 등 이를 장려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
 
[고택을 아서] 소박한 안채 화려한 별당, 이유는? - 예천 권씨종택   2009년 12월호 지면발행
문화재청자료에 의하면 예천 권씨 종택(중요민속자료 제201호, 경북 예천군 용문면 죽림리 166)은 초간草澗권문해權文海(1534~1591) 선생 조부祖父인 권오상權五常선생이 지었다고 한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도 임진란 전에 지어진 집으로 추정하고 있다. 어쨌든 권문해 선생 조부가 지었다고 한다면 이 집 건립 연도는 1500년대 초반일 것이다. 여러 곳에서 보이는 고식...
 
[현장을 아서] 대목수의 꿈 ‘덕유산 한옥학교’ 에서 이루자! 대목과정 2기 교육현장   2009년 11월호 지면발행
덕유산 한옥학교가 2기 대목과정 실습이 한창이다. 8명이라는 소수정예로 진행되는 덕유산 한옥학교는 기본과 원리에 철저한 교육으로 전통 한옥 목수 양성을 목표로 한다. 가을빛을 벗 삼아 연일 수공구 연마에 구슬땀을 흘리는 초보 목수들이 있는 곳, 덕유산 한옥학교 교육 현장으로 가보자.글 · 사진서상신 기자취재협조덕유산 한옥학교 011-9714-2497 http://kr.blog.yah...
 
[고택을 아서] 고택 보전의 중요성을 일깨운 부여민칠식가옥 扶餘閔七植家屋   2009년 11월호 지면발행
노송, 느티나무, 대나무가 울창한 나지막한 뒷산을 배경으로 남쪽으로 확 트인 널찍한 터에 남향으로 자리 잡은 부여 민칠식 가옥扶餘閔七植家屋(중요민속자료 192호)은 전망이 시원하다. 마을 앞으로는 왕포천이 서에서 동으로 흘러 멀리 바라보이는 금강과 만나고 넓은 벌판이 장관을 이루며 펼쳐져 바라만 봐도 풍요롭게 느껴진다.민칠식 가옥이 위치한 중정리는 여흥 민씨와...
 
[고택을 아서] 젊은 부부 은밀한 사랑을 보호한 의성김씨義城金氏 남악종택南嶽宗宅   2009년 10월호 지면발행
문화재청 자료에는 김 주가 태어난 곳이라고 하지만 그 시점이 1606년인 점과 기와의 명문을 고려해 본다면 오히려 이 집을 지은 사람이 아닌가 한다. 누가 지었든 간에 1640년경에 지어진 집이라고 한다면 남악종택도 현재 남아있는 고택 중 꽤 나이 먹은 축에 속한다. 나이가 먹었다는 증거는 안채 대청판장문에 설치된 중간 문설주다. 창문 중간에 문설주가 있으면 최소한 임...
 
[고택을 아서] 전통이 살아 숨쉬는 곳 성주 한개마을   2009년 9월호 지면발행
경북 성주군 월항면 대산1리 한개마을은 성산星山이씨가 600년 가까이 살아온 집성촌으로 안동 하회마을, 안강 양동마을, 함양 개평마을과 함께 영남 4대 전통 마을로 꼽힌다. 배산임수형 지세로 뒷산인 영취산 줄기가 마을을 감싸듯 좌청룡 우백호로 뻗고 앞에 백천이 흐른다. 이러한 풍수에 따라 마을 어귀에 평민 가옥을, 마을 안쪽과 뒷산 쪽에 양반 가옥을 배치했다. 가옥...
 
[고택을 아서] 서울 운현궁 雲峴宮   2009년 8월호 지면발행
운현궁은 고종의 잠저潛邸이자, 흥선대원군의 사저로 한국 근대사 유적 중 유서 깊은 곳이다. 이하응이 왕실 집권을 실현시킨 산실이자, 집권 이후 대원군의 위치에서 왕도 정치로의 개혁 의지를 단행한 곳이다. 대원군이 권력에서 하야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정치적 영향력을 내외에 행사한 곳으로 고종이 즉위하기 전까지 살던 잠저이기에 역사적 상징성이 크다. 배치도서...
 
여름 정원의 오아시스, 나무그늘을 아라~   2009년 8월호 지면발행
도심처럼 높은 빌딩이 그늘을 만들어 주지 않는 전원에서는 나무그늘 없는 정원은 그야말로 직사광선에 무방비상태. 무성한 잎을 자랑하는 나무가 있으면 다행이고 그렇지 않다 해도 우리에겐 퍼걸러와 덩굴식물이 있으니 그리 걱정할 건 없다. 그리고 나무그늘을 어떻게 활용할지도 멋대로 디자인해 보자.글박지혜 기자원시의 나무 이용하기▲ 마당 한 귀퉁이에 무심코 피어난...
 
[고택을 아서] 청백리淸白吏의 귀감 오리 이원익종택悟里굃元翼宗궀   2009년 7월호 지면발행
오리悟里이원익굃元翼(1547∼1634)은 태종의 5대 손으로 선조, 광해군, 인조에 걸쳐 영의정을 다섯 번이나 지냈다. 이원익은 벼슬을 마치고 이곳에 정착할 때, 청렴하게 살아 변변한 집도 마련하지 못했다. 종손에 따르면 "오리 선생이 살던 집은 초가 몇 칸에 지나지 않았는데, 이를 안 인조가 현재의 종갓집을 하사했다"고 한다. 인조는 집과 함께 '청백리...
 
[고택을 아서] 대갓집의 위엄을 한눈에… 장위동김진흥가옥   2009년 6월호 지면발행
서울시 성북구 장위동에 있는 김진흥갏鎭興가옥(서울시 민속자료 25호)은 조선시대 순조의 셋째 딸 덕온공주의 남편 윤의선이 지은 집이다. ㄷ자형 안채와 ㄱ자형 사랑채, ㄷ자형 중문간 행랑채, ㄷ자형 별채, 一자형 별당채로 이뤄져 있다. 중대문으로 들어서면 안마당 전면에 안채가 자리한다. 중앙 대청을 중심으로 오른쪽이 건넌방이고 ㄱ자로 꺾여서 아궁이부엌...
1 2 3 4 5 6 7 8 9 10 11~19 >
전원주택 (5,630)
펜션/카페 (241)
전원생활 (908)
정원 (312)
월별목차 (40)
최근 많이 본 기사
월간 전원주택라이프 『2025...
[광교 목조주택] 담과 가벽이...
[동탄 상가주택] 수익과 편안...
[대구 상가주택] 테라스로 도...
고기밀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2가구 전원주택] 80人에게 ...
H빔으로 골조 세우고 2층으로...
[전원주택을 레고처럼 뚝딱 ...
[사랑의 집짓기] 독거노인을...
[DISTRICT REPORT] 우리도 ...
과월호 보기:
상호/대표자 : 전우문화사/노영선  |  사업자등록번호 : 105-41-60849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04-01800호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마포 라00108  |  주소 : 서울 마포구 성산로 124, 6층 (성산동,덕성빌딩)
TEL: 02-323-3162~5  |  FAX: 02-322-8386  |  이메일 : webmaster@countryhome.co.kr
입금계좌 : 기업은행 279-019787-04-018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윤홍로 (02-322-1201)

COPYRIGHT 2013 JEONWOO PUBLISHING Corp.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
회사소개  |  매체소개  |  사업제휴  |  정기구독센터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사업자정보확인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 전우문화사